지난해 12월30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 고객상담센터의 모습. 2019.12.30/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
연방 법무부가 북한이 가상화폐를 이용해 자금 세탁, 제재 회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불법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북한 등 ‘불량국가'(rogue state)들은 사이버 공격과 미국과 국제 제재의 영향력 약화 수단으로 가상화폐를 이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7일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윌리엄 바 미국 법무장관 직속 사이버-디지털 대책위원회는 최근 공개한 ‘가상화폐: 법 집행 체계’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가상화폐 기술이 미국이 직면한 주요 범죄와 국가 안보 위협의 많은 부분이 발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 이란, 러시아 같은 ‘불량국가’들이 “사이버 공격에 자금을 대고, 미국과 국제 제재의 영향을 약화시키며, 세계 시장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상화폐에 의존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또 “가상화폐는 국제 제재를 회피하고 전통적인 금융 시장을 약화시킴으로써 미국과 동맹국들의 이익을 해치는 골치 아픈 새로운 기회를 개인과 불량국가들에게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가상화폐의 불법 이용이 궁극적으로 국가 안보까지 위협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또 “가상화폐가 범죄 실행에 연루된 금융 거래, 금융 활동을 감추기 위한 수단, 거래소 탈취와 같은 가상화폐 시장 내 범죄행위 등 크게 세 가지 범주에서 악용된다”고 지적하면서, 북한은 이런 모든 범주에 해당된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이 컴퓨터 시스템이나 내부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랜섬웨어 공격을 하고 이에 대한 피해 복구 비용을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로 요구했다”며 “2017년 ‘워너크라이 2.0 공격’을 주요 사례로 제시했다.
또 악성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타인의 컴퓨터를 해킹하고 무단사용해 암호화폐를 채굴하는 ‘크립토재킹’수법 등 “북한이 가상화폐 거래소와 지갑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해 암호화폐를 절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블록체인 거래 분석업체 채이널리스의 제시 스피로 국장은 이날 VOA에 “북한의 가상화폐 탈취 규모가 이번 보고서에서 명시된 이란, 러시아 등 다른 불량국가들보다 크고 가상화폐 거래소 공격 성공률도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