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이 자국민을 상대로 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면역 실험을 결국 포기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는 스웨덴에서 늦가을부터 확진자가 급증하고 입원 환자와 사망자 수가 늘어나자 현지 정부가 자국민의 자발성에 기대야 하는 코로나19 대응 방식을 포기했다고 전했다.
스테판 뢰벤 스웨덴 총리는 지난달 22일 대국민 연설에서 필수적이지 않은 접촉을 취소해줄 것을 간청했고, 8명 이상의 모임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결국 영화관과 다른 오락시설들이 문을 닫았고, 그 다음 주부터는 고등학교들이 폐쇄됐다.
코로나19 관련 사망자 수가 100만명당 700명에 이르고 증가하는 확진자로 병동이 모자랄 지경에 이르자 스웨덴 정부가 결국 ‘U턴’을 하게 됐다고 WSJ는 설명했다.
스웨덴의 집단면역 정책을 반대해왔던 스톡홀름 카롤린스카 대학병원의 피오트르 노박 박사는 “당국자들은 유럽의 나머지 지역과는 전혀 다른 전략을 선택했고, 그 때문에 1차 물결에서 우린 많은 고통을 받았다. 그들은 2차 물결도 제대로 예측하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집단면역 전략을 설계한 스웨덴 국립보건원의 감염병 학자 안데르스 테그넬 박사는 WSJ와의 인터뷰를 거절했다.
WSJ는 스웨덴의 방임 전략이 당국자들이 원하던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스웨덴 중앙은행과 여러 경제기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스웨덴의 국내총생산(GDP)은 전년동기 대비 8.5% 감소했으며, 2021년 실업률은 약 10% 상승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식당·호텔·소매업 등의 사업체들도 줄줄이 문을 닫게 생겼다. 스웨덴 당국은 이런 상업시설에 폐쇄 명령을 내린 적이 없고, 그만큼 지원도 적게 한 영향이다.
스웨덴 동부 항구도시 순스발에서 식당 2곳을 문닫고 직원 30명을 해고하게 된 요나스 함룬트는 “올해는 영업정지를 당하는 것보다 심각한 해였다. 정부는 봉쇄를 안 한 탓에 실질적인 지원도 안 해줬고, 사람들에게는 식당에 가지 말라고 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