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erican Community Media-미국 Z세대 청년층의 정신건강에 심각한 적신호가 켜졌다.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에 태어난 Z세대 5명 중 1명은 주요 우울증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단순한 개인 문제가 아닌 구조적인 사회 위기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아메리칸커뮤니티미디어(ACoM)가 7월 25일 주최한 언론 브리핑에서 전문가들은 “Z세대는 팬데믹 이전부터 외로움, 불안, 우울증 등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었다”며 사회 전반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에 따르면, 2023년 기준 Z세대 청년의 22%가 주요 우울 증세를 겪었으며, 이는 전체 성인 평균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다. 또한 보건복지부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9년 사이 고등학생 36% 이상이 지속적인 절망감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색인종 청소년의 자살 시도 증가도 우려를 키운다. 2023년 청소년 위험행동 조사에 따르면 흑인 고등학생의 10.3%가 지난 1년간 자살을 시도했고, 19.6%는 자살을 심각하게 고려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라티노와 백인 청소년 역시 각각 8.3% 수준의 자살 시도율을 보였다.
하지만 정신건강 치료 접근성은 인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5~17세 청소년의 치료율은 백인 18.3%, 흑인 12.5%, 라티노 10.3%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문화적 낙인, 비용 부담, 의료 접근성 부족 등의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비영리단체 ‘옐로우체어콜렉티브’의 이수진 치료사는 “아시아계와 라틴계 청소년 중 상당수가 가족이나 사회 분위기 속에서 정신건강 문제를 터놓기 어려워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미국 내 정신건강 전문가 중 유색인종 비율은 6%에 불과해, 문화적 공감이 어려운 치료 환경도 큰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존스홉킨스대 키아라 알바레즈 박사는 “문화와 언어, 정체성에 대한 이해가 없는 환경에서는 치료의 지속 가능성도 떨어진다”며 “정신건강 분야에서도 다양성과 문화 감수성을 갖춘 인재 양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신건강 위기는 세대와 인종을 가리지 않고 미국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Z세대를 위한 맞춤형 대책과 문화 기반의 접근이 절실하다는 점에서, 정부와 지역사회 모두의 책임 있는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