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밤에 잠은 잘 주무셨어요?”
“무슨 걱정거리라도 있으신가요. 심리상담 받을 수 있도록 담당자에게 전달할까요?”
서울시는 고독사 위험이 큰 50~60대 중장년 1인가구의 외로움 관리와 사회적 고립 예방을 위해 ‘AI 생활관리서비스(가칭)’를 오는 4월 시작한다고 23일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월 발표한 1인가구 안심종합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사업이다.
AI가 휴대전화나 집전화로 주 1~2회 전화를 걸어 식사는 잘 하고 있는지, 잠은 잘 자는지 등 안부를 챙기고 운동, 독서 등 취미생활이나 바깥활동 같은 일상생활도 관리해준다.
소소한 대화를 나누는 말동무가 되어 외로움에 취약한 1인가구의 정서적인 안정도 돕는다.
시는 우선 4월부터 5~6개 자치구, 중장년 1인가구 300명 내외를 선정해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시범사업을 통해 개선점을 발굴하고, 기술을 검증‧고도화해 2026년까지 서울시 전역 중장년 1인가구 3만명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시범사업을 통해 수집된 생활패턴과 욕구사항 분석과 모니터링 결과 등을 바탕으로 향후 중장년 1인가구 정책 발굴에 활용할 계획이다.
시는 ‘AI를 활용한 1인가구 생활관리서비스’를 수행할 민간사업자를 24일부터 3월14일까지 공모한다. 사업 기간은 총 6개월이다.
AI 기술을 활용한 1인가구 문제 해결에 관심있는 기업, 대학(원), 연구기관은 참여 가능하고 컨소시엄 형태로도 참여할 수 있다.
이해선 서울시 1인가구 특별대책추진단장은 “사회적으로 고립되거나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은 자신감과 행복감이 상대적으로 낮고 질병 및 각종 사고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며 “AI 생활관리서비스를 통해 중장년 1인가구가 일상을 회복하고 사회공동체 일원으로 당당하고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