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커비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26일(현지시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달 중순께 예상됐던 새 대북정책 발표가 늦어지는 것과 관련 “서둘렀다가 실패하면 그 결과는 미국인들뿐 아니라 한국, 일본 같은 우리의 동맹국들에도 극도로 위험하다”고 말했다.
커비 대변인은 북한과 관련된 질문에는 “보안 사항”이라며 말을 아끼면서도 “(대북정책 발표는) 그들(북한)이 (핵)프로그램과 역량을 진전시키려 애쓰는 방식을 볼 때 가능한 한 가장 신중한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대북정책 실패 시) 위험성이 너무 크기 때문에 그 누구도 이 문제에 대해 서두르기를 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동아일보는 이를 두고 “발표까지 시간이 다소 걸릴 것임을 시사했다”고 평가했다.
커비 대변인은 아울러 브리핑이 사라지다시피 했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때와 달리 브리핑을 정기적으로 여는 이유에 대해서는 “미국인은 물론 동맹 및 파트너 국가들에도 우리 정책을 알리기 위한 진지한 의무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어 “브리핑은 또한 우리의 적대국들을 향해 메시지를 발신할 기회이기도 하다”며 “테러리스트가 됐든 러시아, 중국, 북한이 됐든 그들은 우리의 브리핑을 주목하고 있으며 우리가 무엇을 하는지 신경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향한 메시지이기도 하냐’는 질문에는 “특정인을 겨냥하지는 않는다”면서도 “(김정은을 포함해) 모두가 듣고 있다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지난달 초까지만 해도 바이든 행정부는 “수주 안에 검토를 끝낼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과의 최종 조율 작업만 거치면 곧 공개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했다.
실제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우리 정부 일각에서는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행정적 절차’만 남은 상태라고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