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젠슨 황 CEO가 3분기 실적 발표에서 “AI 거품론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AI 산업이 선순환 구조에 본격 진입했다고 선언했다. 그는 생성형 AI 단계를 넘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며 도구를 활용해 자율적 행동을 수행하는 에이전트 AI가 차세대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CEO는 19일 실적보고서와 콘퍼런스콜에서 “훈련과 추론 전반에서 연산 수요가 복합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기하급수적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AI 생태계는 더 많은 국가, 더 많은 산업, 더 많은 스타트업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에이전트 AI가 폭발적 컴퓨팅 수요 불러올 것”
황 CEO는 단순 대화형·이미지 생성형 수준을 넘은 에이전트 AI가 방대한 연산 성능을 요구하기 때문에 엔비디아 GPU 수요가 향후 더욱 폭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에이전트 AI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목표를 설정하고, 자체 계획을 수립하며, 필요한 도구를 사용해 작업을 수행·수정하는 고차원형 AI로, 기업 운영·산업 자동화 등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 것이라는 설명이다.
“하이퍼스케일러 현금 흐름으로 수천억 달러 AI 투자 충당 가능”
최근 시장에서는 AI 데이터센터 구축 비용이 너무 크다는 우려가 이어졌지만, 황 CEO는 이를 정면 반박했다.
그는 “AI 인프라에 필요한 5,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는 외부 조달 없이도 하이퍼스케일러들의 자체 현금 흐름만으로 완전히 감당되고 있다”고 말했다.
황 CEO는 GPU 투자가 단순한 비용이 아니라 직접적인 수익 확대 수단임을 강조했다. 추천 알고리즘 기반의 핵심 서비스들이 생성형 AI로 전환되면서 GPU가 매출 증대의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엔비디아의 우위는 에너지 효율…전력 제한 시대의 절대 가치”
황 CEO는 엔비디아가 경쟁사 대비 압도적 우위를 유지하는 핵심 요인으로 와트당 성능, 즉 에너지 효율성을 꼽았다. 전 세계 데이터센터가 전력 공급 한계에 직면한 가운데, 효율적인 아키텍처는 곧바로 수익성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엔비디아는 호퍼(Hopper), 블랙웰(Blackwell), 차세대 루벤(RuBen) 등 모든 세대에서 공동설계 방식을 적용해 효율을 극대화했다고 설명했다.
3분기 실적 “예상치 크게 상회”
엔비디아는 3분기 매출 570억 달러를 기록하며 월가 예상치(약 549억 달러)를 크게 뛰어넘었다.
특히 핵심 사업인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512억 달러로 전년 대비 66% 성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