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이 현대제철 미국 제철소에 합작 투자한다.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높아진 철강 관세 장벽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서다. 양측은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도 향후 협업하며 미래 모빌리티 소재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포스코그룹은 21일 현대차 강남대로 사옥에서 현대자동차그룹과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정부의 25%의 철강 품목 관세 등 급변하는 통상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철강 및 이차전지 시장에서 공동으로 시너지를 창출하기로 했다.
먼저 철강 분야에서 양사는 글로벌 합작 투자부터 탄소 저감 철강 생산을 위한 효과적인 탄소 중립 전환까지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포스코그룹은 철강 사업 현지화 전략의 하나로 현대차 그룹의 대미 철강 투자에 참여한다. 이를 통해 10년간 보호무역 장벽으로 제한됐던 북미 철강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2028년까지 210억 달러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현대제철은 루이지애나에 미국 최초의 전기로 일관 제철소를 건설하기로 했다. 연산 270만 톤 규모, 총투자 금액은 58억 달러다.
자회사 포스코는 현대제철의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에 합작 투자한다. 일부 생산 물량을 직접 판매하는 방안 등도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국과 멕시코 지역에 철강 소재를 원활히 공급해 유연한 생산·판매 체제를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는 현재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을 비롯해 북미 지역에 철강가공센터를 운영하며 다양한 완성차를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다.
루이지애나 제철소가 완공되면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 등 미국 주요 자동차 생산 거점과 완성차 업체에 자동차 강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측은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도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해 캐즘(Chasm·일시적 수요 부진) 이후의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자회사 포스코는 현대제철의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에 합작 투자한다. 일부 생산 물량을 직접 판매하는 방안 등도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국과 멕시코 지역에 철강 소재를 원활히 공급해 유연한 생산·판매 체제를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는 현재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을 비롯해 북미 지역에 철강가공센터를 운영하며 다양한 완성차를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다.
루이지애나 제철소가 완공되면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 등 미국 주요 자동차 생산 거점과 완성차 업체에 자동차 강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측은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도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해 캐즘(Chasm·일시적 수요 부진) 이후의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박종홍 기자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