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대장동 로비 의혹을 받는 박영수 전 특별검사에 대한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26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수재 등 혐의로 박 전 특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박 전 특검의 경우 범행 수법과 죄질이 불량하고 중형 선고가 예상되는 등 사안이 중대하다”고 구속영장 청구 배경을 설명했다.
박 전 특검은 2014년 11월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있으면서 대장동 컨소시엄 구성을 지원하는 등의 대가로 대장동 민간업자들에게서 200억원 상당의 땅과 건물을 약속 받고, 대한변협회장 선거자금 명목으로 현금 3억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다.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 등 대장동 민간업자들로부터 우리은행 여신의향서 발급 청탁 대가로 2015년 4월 5억원을 수수하고 50억원 상당의 이익을 약속받은 혐의도 있다.
컨소시엄 참여가 무산되는 등 박 전 특검의 역할 축소에 따라 대장동 일당이 건넬 뒷돈의 규모도 50억원 정도로 줄었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앞서 검찰은 지난 22일 박 전 특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16시간 넘게 조사했다.
검찰은 조사 당시 우리은행이 성남의뜰 컨소시엄에서 빠지고 PF 대출 방침으로 선회하게 된 경위 및 그 과정에서 박 전 특검이 우리은행 고위직들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김만배씨에게 영향력을 행사해 달라고 부탁을 받았는지 등에 대해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박 전 특검이 화천대유 고문으로 지낼 당시 받은 급여 2억5500만원과 딸이 재직 중이던 화천대유에서 빌린 11억원이 그가 받기로 한 50억원 중 일부인지도 수사 중이다.
박 전 특검과 공범으로 지목된 양재식 변호사(전 특검보)도 이날 같은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검찰은 지난 12일 양 변호사를 조사한 데 이어 지난 20일에도 재차 소환조사한 바 있다.
양 변호사는 박 전 특검을 위해 대장동 개발 비리 과정에서 회의 참여 등 실무를 담당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양 변호사가 적극적으로 이익 제공을 요구하는 등 범죄 실행 부분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했다고 보고 있다.
이른바 ‘대장동 로비 의혹’ 연루 인사 중 구속영장이 청구된 것은 곽상도 전 국민의힘 의원에 이어 박 전 특검이 두 번째다.
검찰은 지난 2021년 대장동 개발 사업에 영향력을 행사해주고 화천대유 직원이던 아들 병채씨를 통해 50억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는 곽 전 의원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법원에서 기각됐다.
구속을 면한 곽 전 의원은 불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지만 1심에서 뇌물 수수 혐의는 무죄가 나오고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만 인정돼 벌금 800만원을 선고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