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규모가 163조원으로 집계됐다. 중국 기업의 시장 점유율(매출액 기준)이 44.4%에 달했다. 국내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22.9%였다.
27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전기차용 배터리 업체별 판매 실적은 690기가와트시(GWh), 배터리 팩 기준 시장 규모는 1255억4800만달러(약 163조원)으로 조사됐다.
국내 배터리 3사와 일본 파나소닉을 제외한 10위권 안 기업 모두 중국 기업이었다. 중국 기업의 매출액 기준 시장 점유율은 44.4%에 육박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 삼성SDI(018260), SK온 등 국내 3사의 매출액 기준 점유율은 22.9%로 집계됐다.
중국 배터리 기업 CATL이 매출액 및 출하량 기준 모두 시장 점유율 1위로 집계됐다. CATL의 지난해 매출액은 345억5700만달러(약 45조원)로 점유율 27.5%를 차지했다. 출하량은 270GWh로 점유율 39.1%로 나타났다.
LG에너지솔루션은 매출액 153억9100만달러(약 20조원)이며, 점유율은 12.3%로 집계됐다. 출하량은 103GWh로 점유율 14.9%였다.
3위에는 중국 BYD가 이름을 올렸다. 매출액과 출하량 기준 점유율은 각각 9.6%, 12.2%다.
매출액 기준으로 삼성SDI(74억7800만달러)와 SK온(58억2100만달러)은 각각 4, 5위에 올랐다. 점유율은 삼성SDI가 6.0%, SK온이 4.6%다. 일본 기업인 파나소닉이 매출액 44억7700만달러(점유율 3.6%)로 6위였다.
출하량 기준으로는 순위가 달랐다.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에 배터리를 납품하는 파나소닉이 49GWh(점유율 7.1%)로 4위를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SK온이 44GWh(점유율 6.4%)로 5위, 삼성SDI가 36GWh(점유율 5.2%)로 6위였다.
1~3위 업체의 출하량 기준 점유율은 66.2%다. SNE리서치는 “자동차 OEM이 배터리 내재화를 위해 자체 배터리 공장 증설 및 배터리업체와 조인트벤처(JV) 공장 설립을 진행하고 있어 해당 공장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기 전까지는 현재의 구도가 큰 변동 없이 유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