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30일 장애인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한 6개 중점 정책제안을 내놨다.
국민통합위는 이날 오후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 제안 설명 및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지난 4개월간 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위가 논의해 도출한 정책제안을 설명하고, 장애인 이동편의증진의 미래상을 토론하기 위해 마련됐다.
방문석 특위위원장이 특위 활동 경과를 설명하며 중점 정책 제안 6가지를 제안했다.
특위는 ‘모두를 위한 이동의 자유’라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 개선 △대중교통의 유니버설디자인화 △개별이동수단 개선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 △장애인 이동편의 및 접근성 정보 구축·활용 강화 △장애친화적 이동편의증진 인식 확산 등을 제시했다.
방 위원장은 “특별교통수단과 대중교통의 접근성은 장애인의 입장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진 토론 세션은 홍윤희 특위 위원이 나서서 ‘장애인 이동편의 및 접근성 정보, 어떻게 구축하고 활용할 것인가’를 주제로 발제를 했다.
홍 위원은 장애인 이동에 필수적인 이동편의와 접근성에 관한 정보가 법률·부처·수단별로 분산돼 관리되며 민간에 개방되지 않는 문제를 지적했다.
또 최보윤 특위 위원은 ‘장애인 개별이동수단, 어떻게 법체계를 개선하고 기술을 발전시킬 것인가’를 주제로 두 번째 발제를 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특위의 제안이 장애인에게 공정한 이동의 기회를 찾아드리는 데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