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성 위암 환자가 잠을 충분히 자면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잠이 부족할 경우 위암에 악영향을 미치는 데다 면역 증진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할 수 있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은 유인선 이대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남녀 1만6365명을 대상으로 위암 생존과 수면시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유 교수팀은 위암 생존자와 위암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을 비교해 5시간 미만의 수면이 위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위암 생존자(조사 당시 생존)는 조사한 성인 남성(7193명) 중 77명, 성인 여성(9172명) 중 46명이었다.
위암 생존 남성은 위암 진단을 받지 않은 남성보다 수면 부족(5시간 미만 수면)일 가능성이 62% 적었다. 전체 위암 생존 남성(77명) 가운데 하루 수면시간이 5시간 미만(수면 부족)인 사람은 6.4%(5명)에 불과했다. 이는 위암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의 수면 부족 비율(11.5%)의 절반 수준이다.
수면이 부족한 위암 생존자들이 암에 걸리지 않은 일반인보다 적다는 것은 충분한 수면시간이 위암 생존에 도움을 준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위암 생존 여성과 위암 진단을 받지 않은 여성은 수면 부족 비율에서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 교수팀은 “위암 진단을 받고도 생존한 남성의 경우 수면시간이 부족한 경우는 적었지만, 여성에선 위암 생존과 수면시간 간의 연관성이 없었다는 게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설명했다.
위암 환자의 수면이 부족할 경우 위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헬리코박터균 관련 발암물질이 면역-염증의 균형을 방해할 수 있다. 아울러 위 점막이 손상되고 위산 분비가 늘어 위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면역을 증진시키는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도 억제한다.
암 생존자는 일반적으로 불면증·수면장애 등 수면 문제로 고통받는다. 특히 위암 생존자에게는 피로·설사·수면 문제가 나타나 삶의 질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난다. 유 교수팀은 “유방암 생존자의 수면시간이 유방암 없는 여성보다 짧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 성인 위암 생존자에서의 수면시간에 대한 연구: 7기(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라는 제목으로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