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식량난을 겪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지역에 한국형 쌀 생산벨트(K-라이스벨트)와 지능형농장(K-스마트팜)을 구축한다. 이번 구축을 통해 정부는 1950년 한국전쟁(6·25전쟁) 전후 식량원조를 받던 국가에서 주는 나라로 탈바꿈한 국가로서 농업발전 성과를 전 세계에 알릴 계획이다.
정부는 10일 외교부 장관 주재로 제5차 무상개발협력전략회의를 열고 ‘농업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추진전략’을 의결했다.
이번 추진전략 의결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식량 및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한국이 농업 분야 개발 협력을 통해 2030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마련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 분야 ODA의 전체적인 방향성을 수립하고 한국의 농업발전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전략을 수립했다.
정부는 농업 ODA 규모를 2027년까지 2배 확대할 방침이다. 개발도상국 수요와 우리의 외교정책을 고려해 국가·지역별로 스마트팜과 디지털농업 확산, 쌀 생산 역량강화 등 차별화된 협력 분야를 설정해 추진한다.
아프리카 7개국을 횡단하는 벼 재배단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아시아 지역에는 K-스마트팜과 디지털 농업행정·정보통계 시스템 구축(K-디지털농업)을 지원한다.
지난해 11월 농식품부는 한-아세안(ASEAN) 정상회의에서 동남아시아 지역에 디지털 농업 확산과 농업 생산성 증진을 위한 협력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생산성과 농업정책 역량 강화를 돕고, 감염병, 기후변화 등 농촌지역의 복합적 문제 해결을 위한 다분야, 다주체 방식의 묶음 농촌개발 사업도 지원한다.
또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한 인도적 쌀 식량원조를 점진적으로 확대한다. 특히 식량농업기구(FAO) 등 농업 관련 국제기구와의 현장 소통을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사업을 발굴하고,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에 구축한 대륙별 농업기술협의체의 회원국과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센터도 확대해 맞춤형 농업기술협력을 추진한다.
민간의 역량을 농업 ODA에 활용할 수 있는 통로도 확대한다.
해외진출 희망 기업에 대한 자문 등을 제공하고, 개발도상국의 농업개발에 관심이 높은 기업이 민관협력 형태로 ODA 사업에 직접 참여하도록 포용적 비즈니스 프로그램(IBS)과 혁신적 기술 프로그램(CTS) 등을 통해 지원한다.
특히 농식품부는 ODA 전문가 양성을 위해 한국국제협력단(KOICA) 교육원 등에 농업 공적개발원조(ODA) 교육과정을 개설한다. 원조 수원국 현장에 소재한 기관 간 소통과 인적 교류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추진전략에 포함된 과제들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 및 민간 전문가와의 협의를 거쳐 세부 방안을 구체화하겠다”며 “농업 공적개발원조(ODA) 확대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 등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