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초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직류기반 전기추진 스마트 선박인 ‘울산태화호’가 첫 선을 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울산 현대미포조선에서 건조한 국내 최초 전기추진 스마트선박인 울산태화호의 명명식이 열렸다고 밝혔다. 명명식은 선박 건조 후 해당 선박의 이름을 부여하고, 안전운항을 기원하는 행사다.
울산태화호는 정부와 울산시가 지난 2019년부터 모두 448억원을 들여 건조한 국내 최초 직류기반 전기추진 선박이다. 선박 무게는 2700톤으로, 수용인원은 300명이다.
국내 기술로 개발된 기자재의 실증, 해상관광 등 다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향후 선박의 운항정보를 수집하도록 해 추가연계 비즈니스의 개발도 염두에 두고 건조했다.
국내 기술로 개발된 최초의 직류기반 전기추진 시스템이 적용된 울산태화호는 교류방식보다 에너지 효율이 크게 향상된 게 장점이다. 대용량 변압설비가 불필요해 관련 기자재 중량도 약 30% 경량화했다.
선박 통합제어 시스템 등 핵심 기자재 35개 중 이중연료(LNG·경유) 발전 시스템이나 선박 통합제어 시스템 등 32개는 국내에서 개발한 기술이 적용됐다는 점도 특징이다.
울산태화호는 선내에 해상 실증공간을 별도로 마련해 향후 다양한 기자재의 실증테스트도 가능하도록 건조됐다.
선내 주요 기자재에는 약 2200여개의 센서를 부착, 수집된 선박운항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자재 업계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등 디지털 전환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울산태화호는 국내 최초의 직류기반 전기추진선으로 국내 개발된 기자재의 실증을 위한 테스트 베드”라며 “현재 유럽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 중인 전기추진선의 시장진입을 위해 핵심 기술개발 및 기자재 업계의 해외 진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