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6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태원 참사’의 국가 애도 기간이 5일로 끝난다. 여전히 많은 국민이 슬퍼하고 고통받는 가운데 정부는 향후 유사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0월30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이태원 참사에 대해 참담하다는 심경을 밝히며 5일까지를 국가 애도 기간으로 정했다.
당시 윤 대통령은 대국민담화에서 “소중한 생명을 잃고 비통해할 유가족에게도 깊은 위로를 드린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대통령으로서 마음이 무겁고 슬픔을 가누기 어렵다”며 사고 수습 및 후속 조치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핼러윈을 맞아 지난달 29일 서울 이태원에는 약 10만명의 인파가 몰리면서 대규모 압사 사고가 발생했다. 무려 156명이 사망했고 부상자도 195명(4일 기준)에 달했다.
윤 대통령은 그날 밤 인명피해 사고를 보고 받은 뒤 행정안전부 장관을 비롯해 모든 관계부처 및 기관에 “피해 시민들에 대한 신속한 구급 및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긴급 지시했다.
이어 30일 새벽에는 대통령실에서 긴급 상황점검회의를 열었고, 이후 정부서울청사로 이동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도 주재했다. 윤 대통령은 한덕수 국무총리를 본부장으로 하는 사고수습 본부를 즉각 가동토록 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참사와 관련된 위주로 일정을 재조정했고, 국가 애도 기간 중에는 출근길 도어스테핑도 하지 않았다. 또한 행사 주최자가 없어 대책을 수립할 수 없었다는 정부의 해명이 나오자 윤 대통령은 1일 오전 국무회의 모두 발언을 통해 “국민의 안전이 중요하지 주최자가 있느냐 없느냐는 따질 것이 아니다. 철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수습에 나서기도 했다.

공개 일정을 줄인 윤 대통령은 연일 조문에 나서며 희생자들을 위로했다. 31일 서울시청광장 합동분향소를 처음 찾았고 1일에는 국무위원들과 녹사평역 광장 합동분향소, 이태원역 앞 추모공간을 차례로 방문해 희생자들의 넋을 기렸다. 윤 대통령은 4일까지 닷새 연속 분향소를 찾으며 희생자와 유족을 달랬다.
윤 대통령은 4일 오후 이태원 참사 후 공개석상에서 처음으로 사과하기도 했다. 이날 조계사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추모 위령법회’ 추도사에서 윤 대통령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대통령으로서 너무나 비통하고 죄송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사고 이후 대통령은 늘 무겁고 죄송한 마음이었다. 오늘 공개석상인 위령제를 통해 거듭 대통령의 비통한 심경을 말씀드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가 애도 기간이 끝나면 정부는 본격적으로 재발방지대책 수립에 나선다. 오는 7일에는 윤 대통령이 지난 1일 지시했던 국가안전시스템 점검회의가 처음으로 열린다.
이 회의에는 관계부처 장관과 민간 전문가 등이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앞서 윤 대통령은 재난안전관리기본법 개정을 지시했는데 이 회의를 통해 대규모 인파관리와 관련한 구체적인 대책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