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회동 가능성을 언급하며 대선 이후 첫 만남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야 당대표와 원내대표 모두가 참석하는 다자회담으로 당초 이 대표가 제안했던 양자 영수회담은 아니지만, 민주당과 정부·여당의 강대강 대치구도에 전환점이 될지 주목된다.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과 여야 대표·원내대표 간 다자회담에 대한 논의는 윤 대통령이 영국·미국·캐나다 순방을 마치고 돌아오는 24일 이후부터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전날(14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이 해외 순방을 다녀오고 나서 당 대표·원내대표가 만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방식이 어떻게 되든지 그때쯤 논의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당대표 취임 직후부터 윤 대통령을 향해 거듭 영수회담을 제안해온 바 있다. 다만 대통령실에서는 양자 방식인 영수회담이 아닌 여야 지도부가 함께 만나는 다자회담을 언급하면서 사실상 이 대표의 양자회담 제의는 거절한 셈이 됐다.
아직까지는 대통령실 측에서 논의 가능성을 시사한 단계로 회담이 실제 성사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관문이 많다.
다만 한 민주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아직 실질적으로 제안이 온 것은 아니지만, 이 대표는 기존에도 민생문제 해결을 위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만날 의향이 있다고 밝혀왔다”며 “실제 제안이 온다면 적극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회담이 성사될 경우 주요 의제는 민생 관련 사안들이 될 전망이다. 상호 간에 민감한 이 대표 관련 수사 문제 혹은 김건희 여사 특검 문제 등은 언급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강하다. 특히 국민의힘 측은 그간 이 대표의 영수회담 제안을 ‘방탄용’이라고 비난해오기도 했다.
당초 이 대표도 지난 13일 회담을 재차 제안하면서 “윤 대통령에게 여야, 정파를 떠나 허심탄회하게 머리를 맞대고 논의할 수 있는 민생 경제 영수회담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며 민생에 방점을 뒀다.
회담이 실제 성사되고 대통령실과 여야가 민생문제에서 합의를 이루고 일정 수준의 성과를 낸다면, 양측의 강대강 기류도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흘러나온다.
다른 민주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실제 회담이 성사된다면, 여야정 대화의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라며 “최근 급속히 냉각된 정국 회복의 실마리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