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3개 이상 금융회사에서 대출받은 차주(다중채무자) 비중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비례)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은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된 패널 약 100만명의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올 1분기 말 가계대출 차주 중 다중채무자는 22.4%였다.
이는 지난해 말(22.1%)보다 0.3%p 증가한 것으로, 한은이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12년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말 전체 차주 수인 1989만4000명에 22.4%를 적용하면 약 445만6000명이 다중채무자로 추산된다.
올 1분기 다중채무자의 대출 잔액을 연령대별로 보면 40대가 보유한 대출이 전체 대출 잔액의 32.6%를 차지했다. 이어 50대 28.0%, 30대 이하 26.8%, 60대 이상 12.6% 순이었다.
40대 비중은 지난해 말보다 1.1%p 하락했지만, 30대 이하와 50대는 각각 0.6%%p, 0.2%p 증가했다.
다중채무자의 대출 잔액을 차주의 소득 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를 보면 고소득자(소득 상위 30%)가 65.6%를 차지했고, 중소득자(소득 30~70%)와 저소득자(소득 하위 30%)의 비중은 각각 25,0%, 9.4%로 나타났다.
고소득자 비중은 지난해 말보다 0.3%p 줄었고, 중소득자와 저소득자 비중은 각 0.2%p, 0.1%p 늘었다.
다중채무자의 대출 잔액을 금융기관 업권별로 보면 저축은행의 1분기 말 대출 잔액의 76.8%, 차주 수 기준으로는 69.0%가 다중채무였다. 지난해 말보다 대출 잔액은 0.9%p, 차주 수는 1.5%p 비중이 늘었다.
같은 기간 시중은행의 다중채무자 비율은 대출 잔액 기준으로 27.6%, 차주 수 기준으로 25.4%였는데, 이는 지난해 말보다 0.2%p 높고 잔액은 0.3%p 감소한 수치다.
윤창현 의원은 “다중 채무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자영업자·저소득층이 늘고 있다”며 “이대로 방치하면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이런 취약차주들의 고금리 대출을 재조정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라고 말했다.




![윤석열 취임 100일…국정수행 긍정평가 28%대[KBS·MBC]](https://alabamakoreantimes.com/wp-content/uploads/2022/08/optimize-20-3-75x7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