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는 ‘이충무공 유적 보존 민족성금 후손 찾기 운동’을 연말까지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일제강점기 이충무공의 묘소와 위토(제사와 관련 경비를 충당하기 위한 토지)를 되찾기 위해 모금운동에 동참한 2만여명에 달하는 성금 기탁자들의 후손을 찾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현충사관리소는 누리집에 12월31일까지 당시 모금에 참여한 성금 기탁자 2만여명과 400여단체의 이름과 지역 정보를 공개한다.
조상이 모금에 동참한 경우 누리집에서 기탁자 이름과 지역명 등을 확인한 후 등본이나 족보 등의 입증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현충사관리소는 확인 과정을 거쳐 문화재청장 명의의 감사패와 함께 오는 10월로 예정된 현충사 중건 90주년 문화행사에 초청할 계획이다.
1706년에 처음 세워진 현충사는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됐다가 일제강점기인 1932년 민족성금으로 중건된 바 있다.

1930년대 초 이충무공 묘소와 위토가 일본은행에 저당 잡혀 경매에 넘어갈 위기에 처하자, 전국적인 성금 모금 운동이 전개됐다. 당시 민족의식을 일깨우는 각계각층의 편지글도 전달됐다.
모금을 계기로 이충무공유적보존회가 이충무공의 유적과 유물을 보호할 것을 결의하면서 현충사 중건 사업이 시작됐고, 1932년 6월5일 낙성식과 영정 봉안식이 개최됐다.
앞서 지난달 말 문화재청은 ‘일제강점기 이충무공 묘소 보존과 현충사 중건 민족성금 편지 및 자료’를 국가문화재로 등록한다고 예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