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용산구가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지난 21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용산역사박물관 기자설명회에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 관련 질문이 나오자 “용산이 기지개 켤 수 있는 기회가 왔는데 집무실이 와서 용산개발계획이 무산되거나 위축되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성 구청장은 “다행히도 당선인이 추가 제재 계획이 없다고 했지만 교통통제부터 청와대 앞 시위대까지 (문제가) 눈에 불보듯 뻔하다”며 “대책을 세워서 용산구민들의 생활이 지금보다 나빠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성 구청장은 집무실 이전 과정에서 용산구와 소통이 없었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집무실을 옮기는 이유가 국민들하고 소통하고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서라고 하는데 어떤 사람도 구청장에게 이야기한 적이 없다”며 “(중앙정부가) 이야기하고 (지방정부는) 나머지 뒤치다꺼리를 시키는 게 소통인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청와대도 집무실 이전 계획에 제동을 걸면서 갈등이 지속되는 모양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1일 브리핑에서 “새 정부 출범까지 얼마 남지 않은 촉박한 시일 안에 국방부, 합참,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 등 보좌기구, 경호처 등을 이전하겠다는 계획은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며 사실상 반대 의사를 밝혔다.
22일 국무회의에서 집무실 이전 예산을 위한 예비비 편성 안건도 상정되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윤 당선인 측은 청와대가 집무실 이전 반대 의사를 밝히자 현재 당선인 집무실이 있는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연수원에서 업무를 계속하겠다고 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5월10일 0시부로 윤 당선인은 청와대 완전개방 약속을 반드시 이행하겠다”며 “통의동에서 정부 출범 직후부터 바로 조치할 시급한 민생문제와 국정 과제를 처리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