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안철수 위원장·권영세 부위원장’ 체제로 확정되면서 이제 인수위에 파견될 주요 부처 공무원과 그 규모에 관가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인수위 파견은 정권 실세들과 인적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고, 새 정부 출범 후 중추적인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아 ‘출세의 지름길’로 통한다. 더구나 10년 만에 꾸려진 인수위에 올라탈 수 있는 기회여서 관심은 어느 때보다 높다.
14일 정치권과 관계부처 등에 따르면 정부 부처는 최근 인수위로부터 요청받은 파견 공무원 명단을 제출했다. 인수위가 아직 공식 출범한 것은 아니지만 사전 실무준비를 위해 각 부처에 파견자 추천을 요청했고, 이 추천명단을 건네받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당선인측 관계자는 “원활한 인수위 가동 준비 등을 위한 사전 요청이며 최근 추천 명단을 전해받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고, 모 사회부처 당국자도 “공식적으로 명단을 제출한 것은 아니지만 국장급, 과장급 각 1명씩 인수위에 추천했다”라고 밝혔다.
파견 관료들은 인수위 전문위원(실·국장급)·실무위원(과장급) 직함으로 활동한다. 2012년 꾸려진 18대 박근혜 대통령 인수위 당시 공무원 파견 규모는 53명이었다. 이보다 5년 전인 17대 이명박 대통령 인수위 때는 73명이었다.

이번에는 17대 인수위 수준 또는 그 이상으로 꾸려질 것으로 보인다. 공식 파견명단엔 포함되지는 않지만 인수위 측 관계자의 요청이나 필요에 따라 인수위 업무에 투입될 공무원까지 합하면 숫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파견 공무원들은 이르면 이번주, 늦어도 다음주 가동될 인수위 7개 분과(Δ기획조정 Δ외교안보 Δ정무사법행정 Δ경제1(경제정책·거시경제·금융) Δ경제2(산업·일자리) Δ과학기술교육 Δ사회복지문화)에 골고루 배치된다.
가장 많이 배치되는 곳은 경제1~2분과다.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국세청,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핵심 경제부처가 밀집돼 있는 곳으로 당선인의 주요 공약 비중이 가장 높다.
관가에선 인수위 경력이 출세가 보장되는 지름길로 통하는 만큼 치열한 물밑 경쟁이 포착되기도 한다. 하지만 윤 당선인의 공약에 따라 존폐 기로에 선 여성가족부처럼 조직 명운이 걸렸다는 부담감에 회피하는 부처의 분위기도 일부 감지된다.
경제부처의 한 과장급 공무원은 “각 부처에서 인수위 파견자를 추천해도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며 “이를테면 관료 출신 인사가 인수위원이나 분과 간사가 된 경우 자신이 근무했던 시절에 손발이 잘 맞았던 후배를 찾는 경우가 있다”라고 귀띔했다.
사회부처의 한 국장급 공무원은 “역대 인수위에 파견된 직원들이 승승장구했던 전례가 많아 인수위행에 관심이 많고 경쟁도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도 “조직개편이 예고된 부처 등 조직 사정에 따라 인수위행을 꺼리는 곳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