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성환 현대모비스 사장이 “지난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글로벌 반도체 부족 사태로 전 세계 완성차 생산량이 1000만대 이상 감소했다”며 미래차 시장에서의 반도체 중요성을 강조했다.
조 사장이 지난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세미콘 코리아 2022’에서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의 반도체’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이 같이 말했다.
조 사장은 자동차 산업이 자동차라는 용어로 시장을 대표하기 어려울 만큼 다양한 이동수단으로서의 ‘모빌리티’ 산업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모빌리티 산업이 MECA(모빌리티, 전동화, 커넥티비티, 자율주행)라는 4대 트랜드를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할 자동차 업체들의 차별점이 소프트웨어 기술력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소프트웨어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지원하는 반도체 기술의 확보와 발전이야말로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고,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갖고 있는 업체들이 모빌리티 시장의 주도권을 갖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존에는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존재한 반면, 앞으로는 고성능 반도체를 중심으로 하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여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한다고 했다.
조 사장은 연 평균 10% 가량 성장하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설명하면서 일반 반도체와 달리 차량용 반도체의 안정성과 보안, 물리적인 극한의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AEC-Q100, ISO 26262, ISO21434와 같은 국제 표준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