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대 대선이 26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이른바 ‘문재인 정권 적폐청산 수사’ 발언을 둔 청와대와 여당, 야당 간 전면전 양상이 펼쳐지고 있다.
청와대와 더불어민주당은 공개적인 ‘정치 보복’ 선언이라고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는 반면 국민의힘은 ‘선거 개입’이라며 각자가 아전인수격 해석을 내놓고 있는 형국이다.
전문가들은 11일 뉴스1에 여야의 지지층 결집이 본격화할 것으로 내다보는 한편 윤 후보와 이재명 민주당 후보 간 유불리에 대해선 엇갈린 전망을 했다.
이번 사건의 발단은 지난 9일 공개된 윤 후보의 한 언론 인터뷰에서 비롯됐다.
윤 후보는 ‘집권하면 전 정권 적폐청산 수사를 하겠느냐’는 질문에 “해야죠, 해야죠. (수사가) 돼야죠”라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당일(9일) 청와대는 “매우 부적절하고 불쾌하다”는 입장을 표했고, 윤 후보는 “상식적인 이야기로, 스스로 생각하기에 문제 될 게 없다면 불쾌할 일이 없다”고 즉각 반박했다.
전날(10일)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상황에 대해 이례적으로 ‘강력한 분노’를 표출하기도 했다.
민주당은 당 지도부는 물론, 당 안팎을 가리지 않고 윤 후보의 발언을 ‘정치 보복’이라고 질타하는 등 대응 수위를 끌어올리면서 ‘지지층 결집’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 후보는 전날 “후보가 정치 보복을 사실상 공언하는 건 본 일이 없다”며 “보복이 아니라 통합의 길로 가시길 참으로, 진심으로 권유드린다”고 말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문 대통령이 전날 분노를 표하며’사과’를 요구한 것에 대에 “명백한 선거 개입이자 우리는 되고 너희는 안 된다는 식의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며 반발에 나서는 한편, 정치 보복이란 여당 주장엔 철저히 선을 그었다.
윤 후보는 전날 “우리 문 대통령도 늘 법과 원칙에 따른 성역 없는 사정을 늘 강조해 오셨다. 그런 면에서 우리 문 대통령과 저는 똑같은 생각”이라며 “윤석열의 사전에 ‘정치 보복’이란 단어는 없다”고 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앞으로 ‘본격적인 진영대결’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은 “윤 후보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지층까지 포함하는 보수층 결집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 후보 입장에서도 손해 보는 장사가 아니다. 진영 간 대결구도가 더 심화할 것으로 본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또 윤 후보의 발언과 정부·여당의 대응에 방점을 둔 ‘중도층의 민심’ 이전보다는 ‘보수·진보층 결집 효과’가 이를 상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윤 후보, 이 후보의 유불리에 대해선 엇갈린 전망을 내놨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선거 전략 관점에서 봤을 때 윤 후보의 발언은 굉장히 효과가 있는 공세 전략”이라며 “문 대통령 대 윤 후보 구도가 되면서 이 후보가 뒷전으로 밀리게 됐다. 이 후보가 그간 문 대통령과 차별화 전략을 펼쳤는데 이마저도 희석됐다”고 했다.
반면 엄기홍 경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역대급 비호감 대선이란 점에서 중도층의 관심은 이미 떠났다고 보인다”며 “문 대통령의 반응으로 이 후보가 약점으로 꼽히던 친문(親문재인), 친노(親노무현) 진영과 확실한 공통 분모를 이루며 유리한 각도로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