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10월 23, 2025
Advertisemen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Home 산업/IT/과학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대기업에 맡기면 폐차업계 다 죽어”

車해체재활용협회 "업계 생존권 직결" 반발 "제작·제조사가 재활용업계 진출하는 꼴"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by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1월 18, 2022
in 산업/IT/과학
0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대기업에 맡기면 폐차업계 다 죽어”

전기차 폐배터리를 해체한 모습 (사진=한국자동차해체재활용업협회) © 뉴스1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
전기차 폐배터리를 해체한 모습 (사진=한국자동차해체재활용업협회) © 뉴스1

환경부가 ‘전기차폐배터리’ 재활용을 대기업 주도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에 편입시키려하자, 국내 폐차장업계가 ‘업계 생존권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반발하고 있다.

18일 한국자동차해체재활용업협회(전국 회원사 540곳)에 따르면, 환경부는 2020년 말 한국환경연구원에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에 대한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도입에 대한 연구용역’을 의뢰한 뒤 지난해 10월 연구를 마무리한 상태다.

2003년 국내에 도입된 EPR은 ‘플라스틱·빈병·고무·유리·폐냉매’ 등 처치 곤란인 품목들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다.

반면 폐차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자원 중 고철·비철 등 유가자원은 EPR 적용을 받지 않더라도 시장에서 전량 재활용되고 있다.

전기차 전체 가격의 30~40%를 차지하는 ‘전기차 폐배터리’는 고부가 가치 재활용품으로, ‘처치 곤란 품목’이 아니다. 폐배터리는 에너지저장장치(ESS)·소형 모빌리티·자원 재활용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재사용 또는 재활용이 가능하다.

폐차업계에서 ‘전기차 폐배터리’는 가장 큰 재활용품이다. 앞으로 전기차 폐배터리 생산량은 늘어날 것이고 이에 따라 재활용량도 늘어날 전망이다.

폐차업계에서는 이미 전기차 폐배터리에 관련 ‘새로운 산업생태계’로 보고 활성화 작업에 한창이다.

그런데 환경부가 전기차 폐배터리를 생산한 기업이 주도적으로 재활용 처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편할 경우, 폐차업계는 가장 유망한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잃게 된다는 것이다.

자동차해체재활용업협회 측은 “EPR은 제품 사용 후 발생된 폐기물의 처리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생산자의 책임의무를 부과해 폐기물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제도”라며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폐배터리)를 EPR에 적용하는 것은 제도 본연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기업인 자동차 제작사 및 배터리 제조사가 재활용업계에 진입해 이득을 가로채는 것이 아니냐”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그러면서 “오래 전부터 재활용이 용이하지 않은 물질(플라스틱·시트·고무·유리·폐냉매 등)에 대한 EPR 도입을 환경부와 자동차 제작사에 건의해왔으나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재활용 대신 소각 매립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큰 이득이 되는 폐배터리는 오히려 EPR에 적용시키려 시도하니까 우리로선 기가 막히고 억울하다”고 비판했다.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Related Posts

앨라배마 메르세데스-벤츠 노조 투표 오늘부터 시작
AL/로컬/지역

벤츠 앨라배마 공장, 새 물류업체 찾는다

10월 17, 2025
도요타 앨라배마 공장,생산라인 확장
AL/로컬/지역

도요타 앨라배마 공장,생산라인 확장

10월 16, 2025
현대모비스, 멕시코에 2860만달러 추가 투자
AL/로컬/지역

현대모비스, 멕시코에 2860만달러 추가 투자

10월 16, 2025
Next Post
“대선 개표방송도 메타버스에서”…제페토에 KBS 메타버스 공간 오픈

"대선 개표방송도 메타버스에서"…제페토에 KBS 메타버스 공간 오픈

중국 경제성장 둔화에 잘 나가는 한국 수출 ‘먹구름’

중국 경제성장 둔화에 잘 나가는 한국 수출 '먹구름'

‘유가 100달러 돌파’ 韓 경제에 경고음…물가·성장률 위험

'유가 100달러 돌파' 韓 경제에 경고음…물가·성장률 위험

  • 회사소개 인사말
  • 오시는길
  • 회원서비스이용약관

© 2025 Alabama Korean TImes - empowered by ApplaSo.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 2025 Alabama Korean TImes - empowered by Appla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