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6년 넘게 이어온 현대·기아차의 엔진 결함으로 인한 화재 사고와 관련한 조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27일(현지시간) 미국 쿠리어저널에 따르면 NHTSA는 2011~2016년식 차량 300만 대를 대상으로 새로운 엔지니어링 분석을 실시하기로 했다. NHTSA는 이미 161건의 엔진 화재 민원을 접수했으며 이 중 일부는 이미 리콜된 차량에서 발생했다.
조사 대상 차량은 세타2 GDI, 세타1 MPI, 세타1 MPI 하이브리드, 누우 GDI, 감마 GDI 엔진이 탑재한 현대차 쏘나타, 엘란트라, 기아차 쏘렌토, 리오, 옵티마, 소울 등이 대상이다.
NHTSA는 이전의 리콜이 충분한 차량에 적용됐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엔지니어링 분석을 시작한다고 했다. 또 이전 리콜 효과와 더불어 현대·기아차가 실시하고 있는 관련 프로그램의 장기적 실행 가능성 등을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했다.
매체는 엔진니어링 분석이 추가 리콜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 현대차는 NHTSA의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NHTSA는 해당 엔진을 장착한 현대·기아차의 결함으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는 3명의 부상이 보고됐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