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 조치가 한국 경제를 휘청이게 하면서 수입처 다변화에 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물류비를 이유로 꼽았다.
10일 화학업계에 따르면 현재 요소수의 원료인 요소의 97.7%(올해 1~9월 기준)를 중국산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러시아, 유럽,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요소 수입처를 다변화해 대(對)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수입처 다변화는 어렵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한 화학업계 관계자는 “요소는 싼데 무거운 제품”이라며 “먼 국가에서 들여올 경우 물류비용이 높아져 수지타산이 안 맞기 때문에 중국에서 들여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탈탄소를 이유로 요소 생산을 줄이고 있는 상황에서 요소 생산업체들이 기존 거래선을 끊고 한국에 줘야 할 이유도 없다”며 “결국 돈을 더 줘야 하는데, 요소 수입가격도 오르고 물류비도 많이 든다면 어느 기업이 나서겠나”라고 말했다.
상사업계 관계자는 “요소 자체가 대개 내수용으로 많이 쓰인다”며 “중국처럼 원래 수출을 하던 국가가 아니라면 생산 물량 자체가 많지 않아 한국에서 수입을 원한다고 줄 수가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국가에서 수출을 위해 생산량을 늘리더라도 당장 생산능력을 급격하게 확대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확대를 한다고 하더라도 국내에 들여오는 데도 시간이 걸린다”고 지적했다.
러시아는 물량부족, 유럽은 가격 상승 등 문제가 있고, 베트남 등 농업에 기반을 둔 동남아 국가는 지속적 반출이 어려울 것이라는 게 업계 전망이다. 요소는 비료로 쓰이는 만큼 자국 농업에 있어 핵심 자원이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기업이 요소를 생산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2000년대만 해도 국내에서 다수 요소 제조업체들이 생산을 이어가기도 했지만 중국 업체들의 저가 제품에 밀리면서 2010년 이후 줄줄이 생산을 중단했다.
업계에선 이 역시 회의적이다. 또 다른 화학업계 관계자는 “중국과 생산 비용 측면에서 경쟁이 안돼 생산을 재개하기 어렵다”며 “생산을 재개하더라도 중국이 요소 수출을 재개하면 요소 사업은 망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