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수사3부(부장검사 최석규) 소속 허윤 검사 등 6명은 이날 오전 10시9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내 김 의원실에 진입, 압수수색을 벌이고 있다. 의혹의 당사자인 김 의원은 의원실이 아닌 자택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는 손 검사의 자택과 사무실의 압수수색도 진행 중이다.
총선 직전인 지난해 4월3일과 8일 손 검사가 당시 김웅 미래통합당 송파갑 후보(현 국민의힘 의원)에게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 11명의 고발장을 전달했고 김 후보는 이를 당 법률지원단에 전달했다는 게 인터넷매체 뉴스버스가 지난 2일 보도한 이 사건 의혹의 요지다.
공수처는 이날 오전 공보심의협의회 의결을 거쳐 강제수사 착수를 공식화했다. 공수처는 이날 출입기자에 보낸 메시지에서 “공수처 수사3부는 이른바 ‘고발사주’ 의혹의 실체규명을 위해 관련자를 입건하고 금일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어 “수사대상은 손준성 대구고검 인권보호관 등이며 현재 수사대상자들의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지난 6일 시민단체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사세행)은 이 의혹과 관련해 윤 전 총장과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이던 손준성 대구고검 인권보호관, 한동훈 사법연수원 부원장, 권순정 부산지검 서부지청장 (전 대검 대변인) 4명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와 공무상비밀누설 등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했다.
공수처는 고발장 접수 이틀만에 김한메 사세행 대표를 불러 고발인조사를 진행했고, 나흘만에 압수수색을 단행해 강제수사에 나서는 등 매우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움직이고 있다.
공수처는 제보자A씨의 휴대폰을 확보해 분석 중인 대검찰청에 휴대폰 등 관련 자료를 요청할 예정이다. 대검이 협조하지 않을 경우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