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되자 면역 증강을 위해 다음달부터 부스터샷(3차 추가접종)을 시행하기로 했다. 2차 접종까지 마친 뒤 백신 보호 효과가 떨어지기 시작하는 약 8개월이 지난 사람들이 대상이다.
하지만 이번 조치는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접종자들에 대한 것으로 단회 접종으로 끝나는 존슨앤드존슨 산하 얀센의 코로나19 백신에 대해선 추가 접종안이 확정되지 않아 이에 대한 관심이 모이고 있다.
미국 보건복지부(HHS) 등은 18일(현지시간) 오는 9월 20일부터 화이자 및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을 마친 사람들을 대상으로 3차 부스터샷 접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 12일 면역저하 환자들에 대한 3차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대한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이어 17일에는 화이자 및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지 8개월이 지난 나머지 인구도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접종을 권고했다.
미국 정부는 코로나19에 대한 백신 예방 효과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고 델타 변이 확산으로 경증 및 중등도 면역도 감소하고 있다며 부스터샷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얀센 백신 접종자들도 부스터샷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관련 계획을 추후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미 부스터샷 접종을 시작한 이스라엘 연구팀에 따르면 화이자 백신은 접종 완료 6개월 후부터 보호 효과가 95%에서 40%~50%로 떨어졌다. 백신이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심각한 중증 또는 사망할 가능성으로부터 보호하지만 경증 및 중등도 감염 또는 무증상 감염에 대한 효과는 감소한다는 것이다.
◇얀센, 아직 부스터샷 관련 근거 부족…연구 데이터 수집중
하지만 얀센 백신 접종자에 대해선 부스터샷을 추천할 만한 연구결과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윌리엄 샤프너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같은날 미국 CNN을 통해 이번 조치에서 얀센 백신이 제외된 이유에 대해 “적절한 연구결과 자료 없이는 좋은 결정을 내릴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