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6월 30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오는 7월 9일까지 주요 교역국들과 무역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미국은 4월 초 발표한 고율의 국가별 상호관세를 다시 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유예 중인 상호관세 조치가 만료되는 날짜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각국에 협상 타결을 위한 압박 메시지로 해석된다.
베선트 장관은 “몇몇 국가는 선의로 협상에 임하고 있지만, 우리가 협상을 타결하지 못할 경우 지난 4월 2일 관세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며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는 무역협상에 성실히 임하더라도 기한 내 합의에 실패하면 고율 관세를 피할 수 없다는 뜻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해방의 날’ 특별 발표를 통해 모든 수입품에 기본관세 10%를 부과하고, 여기에 각국의 무역장벽 수준을 반영한 상호관세(11~50%)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후 국가별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됐으며, 그 유예 기간이 7월 8일 종료된다.
베선트 장관은 “7월 9일 이전에 많은 무역협정이 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관세 조치 연장 여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판단에 달려 있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필요 없을 것 같다”며 유예 연장 가능성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우리는 모든 국가에 서한을 보내면 된다”고 말해 교역국들에 일괄 통보를 예고했다. 관세율에 대해서는 “25%, 35%, 50% 또는 10%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지만, “연장할 수도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교역국들에게 더욱 적극적인 협상 태도를 촉구하고, 조속한 합의 도출을 압박하는 수단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유예 연장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다.
현재 미국은 유럽연합, 한국, 일본, 멕시코 등 주요 교역국들과 개별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이며, 각국은 자국 산업 보호와 수출 확대를 놓고 이해관계를 조율 중이다. 상호관세가 실제로 부과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과 무역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