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3일부터 26일까지 4일간 5세대(5G)와 6G 분야의 글로벌 기술‧산업 동향을 공유하는 ‘모바일 코리아 2021’ 행사를 개최한다.
모바일 코리아 2021은 5G의 경험을 바탕으로 5G 융합 서비스 시장과 나아가 6G 비전 및 기술표준을 선도하는 등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하 행사다. 지난해부터 기존 5G+ Vertical Summit와 6G Global 행사를 합쳤다.
이번 행사에서는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국 정부와 삼성전자, LG전자, 에릭슨, 노키아, 퀄컴 등 국내외 주요 기업이 참여하여 네트워크 기술 현황을 진단하고 미래 기술‧산업 전망 등을 논의한다.
먼저 23일 개회식은 6G 시대 기술 진화방향을 담은 프로모션 영상을 시작으로,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한국 ‘5G 포럼’과 미국 ‘넥스트 G 얼라이언스'(Next G Alliance) 간 6G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도 이뤄졌다.

국내 기업들의 5G·6G 기술 개발 선도 사례 시연도 있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테라헤르츠(㎔) 대역의 통신기술 개발 현황 발표와 함께 기술 시연을 실시했다. 트라이콤텍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대전도시철도공사도 각각 ‘5G 기반 인체 움직임·표정 정보의 디지털 휴먼 적용’과 ‘객차 내 이상행동 검출’ 기술을 선보였다.
6G 분야에서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Radio 부문국장(Mario Maniewicz)의 6G 미래에 대한 강연을 시작으로 유럽 6GIA, 일본 B5GPC 등 해외 민간기관별 6G 비전과 현황에 대한 소개도 진행됐다.
이외에도 △6G의 미래 패널토론 △국‧내외 주요 대학과 연구원에서 6G 핵심기술 설명 △지상통신과 위성통신의 연계 방안 및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산업계 동향 발표 △국가별 6G 비전&전략&프로젝트 소개를 위한 자리도 마련됐다.
5G 분야에서는 과기정통부의 5G+ 융합서비스 확산 전략 발표를 비롯해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공장&특화망 △실감미디어&메타버스 △스마트시티 △공공융합&해양융합 등 국내외 글로벌 기업과 통신사, 대학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5G+ 융합서비스 분야별 기술개발 현황과 사례도 소개됐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개회식 환영사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는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을 이끌 핵심 인프라이자 전 산업과 융합하며 혁신을 주도할 우리 사회의 기반”이라며 “향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5G 융합서비스를 확산해 나가고, 미국 등 주요 선진국 및 ITU 등 주요 국제기구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6G 비전 수립을 포함한 여러 국제 표준 마련 등 내실있는 성과를 이끌어 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