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소개 인사말
  • 오시는길
  • 회원서비스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정책
Alabama Korea Times
  • HOME
  • 종합뉴스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산업/IT/과학
    • 코로나/건강/보건
  • 타운뉴스
    • AL/로컬/지역
    • 사설/칼럼
    • 인물/피플
  • 생활정보
    • 구인
    • 구직
    • 팝니다
    • 삽니다
    • 홍보
    • 자유게시판
  • 업체/업소록
  • 이전 사이트보기
No Result
View All Result
  • HOME
  • 종합뉴스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산업/IT/과학
    • 코로나/건강/보건
  • 타운뉴스
    • AL/로컬/지역
    • 사설/칼럼
    • 인물/피플
  • 생활정보
    • 구인
    • 구직
    • 팝니다
    • 삽니다
    • 홍보
    • 자유게시판
  • 업체/업소록
  • 이전 사이트보기
No Result
View All Result
Alabama Korea Times
No Result
View All Result
  • HOME
  • 종합뉴스
  • 타운뉴스
  • 생활정보
  • 업체/업소록
  • 이전 사이트보기
Home 미국/국제

“3월도 어렵다” 멈춰선 美금리인하…”한은 2월 인하뒤 속도조절”

美 연준 '물가 진전' 문구 삭제…한은도 관망 자세 보일 듯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by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1월 30, 2025
in 미국/국제, 정치/경제
Reading Time: 1 min read
A A
0
“3월도 어렵다” 멈춰선 美금리인하…”한은 2월 인하뒤 속도조절”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향후 정책금리 결정에 신중한 태도를 예고하면서 한국은행 또한 환율 상승 등을 의식해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늦출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12·3 비상계엄 사태로 더욱 부진해진 경기를 고려해 오는 2월엔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연준은 29일(현지시간) 종료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 목표 범위를 연 4.25∼4.50%로 유지했다. 지난해 9·11·12월 연속 인하 이후 4차례 만에 나온 만장일치 동결이다.

시장은 이번 FOMC 결정문에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 진전’에 관한 문구가 삭제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결정문은 오히려 “인플레이션이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인플레이션이 2% 목표에 근접했다”고 표현했던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미국 내 물가에 대한 평가가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으로 변한 것으로 확인되자, 시장은 미국의 금리 인하 사이클이 조기 종료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웠다.

하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결정문 변화를 단순한 ‘문구 정비(language cleanup)’로 부각하면서, 인하 종료에 대한 우려는 한결 완화됐다.

그 결과 이번 FOMC는 트럼프 2기 정책의 향방을 확인하는 기간을 두기 위한 중립적인 관망 자세가 부각됐던 회의로 요약됐다.

글로벌 투자은행(IB) 시티는 “파월 의장은 중립적 FOMC를 위해 최선을 다했다”면서 “연준은 관망 태세를 유지할 것이고, 향후 몇 달간 물가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5월부터 인하를 재개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한미 기준금리 역전 폭은 기존 1.5%포인트(p)로 유지됐다.

문제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오는 2월 25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75%로 0.25%p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금통위는 지난해 10·11월 2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기존 3.5%에서 3%까지 인하했으나 지난 16일 새해 첫 금리 결정에서는 환율 상승과 계엄 사태·트럼프 2기 정책 등 불확실성을 이유로 동결했다.

그러나 2월까지 동결을 이어가기엔 경기 부진에 대응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만만찮다.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난해 연간으로는 당초 전망(2.2%) 대비 0.2%p 낮은 2.0%로 집계됐고, 특히 작년 4분기에는 기대값(0.5%)을 0.4%p나 하회하는 전기 대비 0.1%에 그쳤다.

해외에서 보는 올해 한국 경제 눈높이는 빠르게 낮아졌다. 올해 성장률 예상으로 JP모건이 1.2%를, 캐피털이코노믹스가 1.1%를 제시했다. 이는 경제의 기초 체력인 잠재 성장률 추정치 2%를 크게 밑돌아, 자칫 우리나라에 저성장 기조가 고착될 수 있다는 우려를 일으켰다.

이에 한은의 2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높게 분석됐다. 이달 이창용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전원이 기준금리를 3개월 내 인하할 가능성을 열어두기도 했다.

실제로 한은이 2월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 인하를 택한다면, 한미 금리차는 1.75%p로 벌어진다.

이 경우 연준이 이번 FOMC에서 관망 자세를 예고한 만큼 2월 이후론 한은도 추가 인하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

트럼프 2기 불확실성에 강달러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한미 금리차마저 커질 경우 환율이 더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원·달러 환율은 외환·금융위기, 레고랜드 사태를 제외하고 전례가 없는 수준인 1400원대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2월을 포함해 한은의 연내 2~3차례 인하를 전망하는 시각이 등장하고 있다. 기존에는 3~4차례 인하 예상이 대다수였다.

노무라증권은 “한은이 2월 금리를 인하한 이후 트럼프 관련 불확실성이 2분기까지는 높을 수 있어 이후 5월과 7월 인하를 전망하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가능성과 탄핵 사태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상당하다”고 밝혔다.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Related Posts

미증시 급락에 국제유가도 3%↓ WTI 70달러 턱걸이
미국/국제

GasBuddy, 휘발유 가격 7월 4일까지 갤런당 30센트 인상 가능

6월 18, 2025
트럼프發 비트코인 ETF에 암호화폐 열풍 재점화
미국/국제

트럼프發 비트코인 ETF에 암호화폐 열풍 재점화

6월 17, 2025
Duracell, 배터리 경쟁사인 Energizer 고소
미국/국제

Duracell, 배터리 경쟁사인 Energizer 고소

6월 17, 2025
크래프트 하인즈, 2027년까지 미국 제품에서 일부 인공 색소 제거 예정
미국/국제

크래프트 하인즈, 2027년까지 미국 제품에서 일부 인공 색소 제거 예정

6월 17, 2025
트럼프 ‘조기 귀국’에 한미회담 불투명…대통령실 “상황 확인 중”
미국/국제

트럼프 ‘조기 귀국’에 한미회담 불투명…대통령실 “상황 확인 중”

6월 16, 2025
마이클스, 경쟁사인 조앤 지적 재산 공식 인수 완료
AL/로컬/지역

마이클스, 경쟁사인 조앤 지적 재산 공식 인수 완료

6월 16, 2025
Alabama Korea Times

© 2020 앨라배마 타임즈 - empowered by ApplaSo Software Company.

Navigate Site

  • 회사소개 인사말
  • 오시는길
  • 회원서비스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정책

Follow Us

No Result
View All Result
  • HOME
  • 종합뉴스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산업/IT/과학
    • 코로나/건강/보건
  • 타운뉴스
    • AL/로컬/지역
    • 사설/칼럼
    • 인물/피플
  • 생활정보
    • 구인
    • 구직
    • 팝니다
    • 삽니다
    • 홍보
    • 자유게시판
  • 업체/업소록
  • 이전 사이트보기

© 2020 앨라배마 타임즈 - empowered by ApplaSo Software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