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무뇨스 사장이 18일 뉴욕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 행사에서 한미 간 자동차 관세 협상의 조속한 마무리를 촉구하고, 조지아 공장에서 구금됐던 한국인 기술자들에 대한 설명과 우려를 공개적으로 밝혔다.
무뇨스 사장은 이날 발표에서 “현재 실적 가이던스는 25% 관세 기준”이라며, “15%로 인하된다면 목표 수익률에 더욱 근접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과 미국은 지난 7월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했지만, 최종 이행을 위한 후속 협의가 지연되고 있다. 일본은 이달부터 15% 적용을 받고 있는 반면, 한국은 아직 25%가 유지 중이다.
현대차는 이날 실적 전망을 조정하며, 연결 매출 성장률 목표를 기존 3~4%에서 5~6%로 상향 조정했지만, 영업이익률 목표는 7~8%에서 6~7%로 하향했다. 관세 부담이 직접적인 이유다.
최근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공장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의 이민단속 구금 사태에 대해서도 공식 언급했다.
무뇨스 사장은 “구금됐던 근로자들 중 상당수는 현대차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된 첨단 기술 인력들”이라며, 이들이 “배터리 생산 장비의 최종 보정 및 테스트 작업을 수행 중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미 양국이 단기출장과 전문기술자에 대한 상호 유익한 해결책을 도출하길 바란다”며 외교적 협의를 통한 실효적 해법을 주문했다.
그는 또 “직원들과 가족들이 겪은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이해한다”며, “안전하게 귀국한 것에 안도한다”고 밝혔다.
무뇨스 사장은 “현대차는 미국 사회의 일원으로서 40년, 조지아에서만 15년 이상 활동해왔다”며, “현재의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는 조지아주 역사상 최대 규모의 경제 개발 프로젝트”라고 강조했다.
이어 “수천 가구에 장기적인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현대차 미래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이날 행사에서 ▲향후 5년간 77조3000억원 투자 계획과 함께, ▲2030년 글로벌 555만대 판매, 이 중 60%를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로 채우는 전략도 제시했다.
호세 무뇨스 사장은 현대차 북미 COO 및 글로벌 COO를 역임한 뒤 2023년 11월 외국인 최초로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에 임명됐다. 이번 뉴욕 ‘CEO 인베스터 데이’는 현대차가 해외에서 처음 주최한 공식 투자자 대상 설명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