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파를 활용한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을 적용하면 졸음운전과 같은 위험한 상황을 최대 30% 가까이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버스나 상용차의 대형 교통사고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모비스는 18일 경기연구원과 함께 지난 1년 동안 경기도 공공버스에 시범 적용한 ‘엠브레인(M.Brain)’의 실질적인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엠브레인은 지난해 현대모비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뇌파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이어셋’을 착용하고 귀 주변의 뇌파를 통해 운전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운전자의 주의력이 떨어지면 시각과 청각, 촉각 등 알림기능을 통해 주의력을 회복하도록 도와준다.
이번 시범사업 결과 엠브레인을 착용한 운전자는 주행 중 집중력이 향상되고 부주의한 상황에 적게 노출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운전자는 졸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식후 시간대에 졸음운전 등 부주의함을 최대 30% 가까이 줄일 수 있었다.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고속도로에서도 운전자 부주의를 20%가량 줄이는 효과가 있었다.
엠브레인이 운전자의 부주의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목 주변의 스피커나 진동시트 등으로 경고를 주면, 최대 2.3초 만에 주의력을 회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경고가 없을 경우 주의력을 회복하는데 걸리는 6.7초의 3분의1 수준이다.
차량용 헬스케어 분야는 실제 도로를 주행하며 획득한 데이터가 핵심 경쟁력이다. 이번 시범사업으로 실제 교통 상황에서 뇌파 신호가 운전자의 건강상태와 주행환경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는지 유효한 데이터를 확보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말까지 총 300여대의 공공버스에 엠브레인 적용을 확대한다. 실증범위를 넓히고 딥러닝 기술을 도입해 분석작업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