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당은 24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지난 7월 법무법인 김앤장 변호사들과 술자리를 가졌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한 장관은 국감장에서 “직을 걸겠다”며 의혹 제기에 강하게 반발했다. 대통령실도 “꾸며낸 소설”이라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이날 법무부·법제처·감사원·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헌법재판소·대법원을 대상으로 한 법사위 국감에서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세창 전 자유총연맹 총재 권한대행과 기자의 통화 녹음파일을 근거로 지난 7월19일 밤 한 장관이 청담동 모처 술자리에 참석했고, 이 자리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앤장 소속 변호사 30여명, 이 전 권한대행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전 권한대행은 지난 대선 당시 국민의힘 동서화합미래위원회 총괄본부장을 맡아 윤 대통령의 선거운동을 지원했다.
김 의원의 의혹 제기에 한 장관은 즉각 반발했다. 한 장관은 김 의원을 향해 격앙된 어조로 “매번 이렇게 허황된 말씀만 하는데 어떤 근거로 말씀하시나”, “계속 허황된 거짓말만 하신 다음에 사과도 안 하지 않느냐”고 되물었다.
한 장관은 급기야 ‘법무부 장관직’을 걸겠다며 김 의원을 압박했다. 그는 “의원님, 저번에 저한테 무엇을 걸라고 하지 않았나. 이번에 저하고 무엇을 걸면 어떤가”라며 “여기(술자리)에 제가 있었거나, 비슷한 자리에 있었거나, 근방 1㎞에 있었으면 무엇을 걸테니 의원님도 거시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제가 술을 못 마시는 건 아시나. 저는 술자리를 별로 안 좋아하고, 강한 사람과 척을 져 왔기 때문에 일부러 회식자리도 안 간다”며 “대한민국 법무장관을 모욕할 정도로 자신있는 말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국민의힘도 ‘술자리 의혹’과 관련한 언론사 보도를 지적하며 한 장관에게 힘을 실었다.
정점식 국민의힘 의원은 김 의원이 한 장관에게 제기한 의혹과 관련, “국정감사장이 (김 의원이 언급한 언론사) 더탐사에 낚였다고 할 정도로 방송이 지금 진행 중”이라며 “이 의혹이 이해되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한 장관은 “어떻게든 저를 음해하고 싶은 마음 충분히 아는데, 허황되게, 선넘게 지어내는 건 선을 많이 넘은 것이고 법적인 책임을 반드시 져야 할 것”이라며 “공직자로서 무엇을 건다는게 불경스러운 말씀인 걸 알지만 제 의지로 읽어달라. 저는 무엇이든 다 걸겠다”고 밝혔다.
이어 “김 의원은 도대체 어디 가 있는 거냐. 묻고싶다”며 “김 의원은 지금 이 방송에 공모하신 거다. 이건 면책특권 범위도 아닌 거다. 책임지셔야 할 거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10시 넘어서 술집에 남아있던 적이 20년 동안 없다. 저랑 술 먹은 사람이 있으면 나와보라고 해라”라며 “전 되게 재미없는 사람이라 그런 식의 생활패턴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또 “제 차를 반복적으로 미행했던 곳이 더탐사란 곳이다. 경찰로부터 스토킹 수사를 받고 있고, 거기에 대해 제1야당 대변인이 공모해서 협업했다는 데 대해 경악을 금치 못하겠다”며 “이 상황에서 제가 분노하는건 이렇게 대충 던져놓고 아니라고만 말하면 프레임만 계속 올라올 것 아니냐. 옛날에 쥴리 뭐 이런 것들 처럼”이라고 덧붙였다.
한 장관은 “더탐사와 협업한 건 맞다”고 말한 김 의원에 대해 향후 법적 대응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그는 “저를 미행해 스토킹 수사 중인 곳과 협업 중이라는 말이 충격이다”면서 “허위사실이 보도될 경우 (김 의원이) 공모한 게 된다”고 말했다.
같은 당 유상범 의원도 한 장관에게 김 의원의 의혹 제기를 문제 삼으며 “철저한 법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자 한 장관은 “김 의원 계속 안 계신데 여기에 대해선 많은 분들이 공감할 거라 생각한다”며 공감을 표했다.
한 장관은 이어 “저를 공격하기 위한 의도라는 건 알겠는데 그래도 어느 정도 기본이 있어야 하지 않냐”며 “이건 사실상 조작이고 이걸 가지고 많은 사람들은 진영에 따라 제가 마치 그런 게 있는 양 믿고 퍼뜨릴 것 아니냐, 그걸 노리신 것 같은데 이건 범죄다. 명백히 책임지셔야한다”고 경고했다.
전주혜 의원도 “소설 같은 영상으로 많이 불편하고 화났을텐데 아까 얘기대로 김 의원이 더탐사와 협업을 했다고 인정하고 있다”며 “판례상 어떤 면책특권이 무소불위가 아니다. 이 부분은 허위사실이 명백하기 때문에 철저한 법적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한 장관은 “예”라고 짧게 답했다.
대통령실도 적극 반박하고 나섰다.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김 의원이 대통령과 법무부 장관의 동선과 관련해 완전히 꾸며낸 소설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아무런 근거 없이 면책특권에 기대 허위 사실을 퍼뜨리는 것은 책임 있는 정치인의 자세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 “국민을 상대로 거짓말을 한 김 의원의 분명한 입장 표명과 사과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