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이 미국에 밀착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특히 정상회담 발표문에서 ‘대만’ ‘남중국해’ 등 중국에 민감한 내용을 포함하면서까지 미국에 다가갔다.
이로 인해 중국에 대한 ‘관리 외교’가 필요한 상황. 우리 정부는 시진핑 중국 주석의 방한을 적극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중국 내부 상황때문에 올해 내 시 주석의 방한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여야 5당 대표 초청 간담회에서 한미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중국과도 소통하고 있다”면서 “코로나 때문에 연기돼 온 시 주석의 방한도 코로나 상황이 안정화되면 추진하겠다”고 다시 한번 의지를 드러냈다.
앞서 시 주석은 지난해 4월 일본을 방문하고 상반기 중 방한한다는 입장이었다. 다만 갑작스러운 코로나19 대유행의 여파로 결국 잠정 연기됐다. 지난해 중국 연중 최대정치인 양회까지 미뤄지면서 시 주석의 해외순방은 사실상 어렵게 됐다.
올해 코로나19 백신 개발로 대유행 완화 조짐이 보이자 각국의 정상 외교행보가 재개됐다. 특히 미일정상회담, 한미정상회담 등 정상외교가 시작되면서 다시금 시 주석 방한에도 기대감이 생기고 있다.
시 주석 방한은 한중 외교 당국 대화에서 언급돼 왔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중국 푸젠성 샤먼에서 한중외교장관 회담을 갖고 여건이 갖춰지는대로 조속한 시주석의 방한을 위해 적극 소통하기로 합의했다.
중국도 미중갈등 속 한국을 끌어들이기 위해 시 주석의 방한을 조기 성사시켜 대응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 견제를 위해 ‘동맹 우선’ 정책을 펼치고 있는 데, 중국의 입장에선 동맹의 약한 고리인 한국을 공략하겠다는 셈법이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