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변 알짜 입지로 주목받는 신반포2차 재건축 조합이 신속통합기획 추진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강남 주요 재건축 단지에서 신속통합기획 추진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향후 강남에서도 ‘오세훈표 재건축’ 바람이 몰아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11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신반포2차 아파트 재건축 조합은 지난 8일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신속통합기획 설명회를 진행했다. 조합은 이사회·대의원회를 거쳐 이달 하순부터 주민 동의서 징구에 나선다. 동의율 50%를 넘으면 서울시에 신속통합기획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신반포2차는 1978년 준공된 1572가구 규모 대단지 아파트로, 반포대교 한강변 알짜 입지로 주목을 받았다. 추진위원회는 17년 전인 지난 2003년 설립됐지만 소유주간 첨예한 이해관계 대립으로 조합 설립이 수차례 무산됐다. 그러던 중 2년 실거주 규제를 피하기 위해 주민들이 뭉치면서 지난해 극적으로 조합이 설립되며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당초 조합은 정비계획변경 주민 공람을 앞두고 있었지만, 최근 신속통합기획 추진으로 방향을 틀었다. 높이 제한·용적률·기부채납 완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데다, 신속한 심의도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하면서다. 집행부는 최근 서울시를 직접 방문해 관련 논의도 진행했다.
서울시는 조합에 △한강변 첫 주동(한강변에서 가장 가까운 아파트 동) 15층 높이 규제 완화 △35층 이상 층수 상향 △녹지 비율 최소화 △기부채납 15%→10%로 축소 △통경축 가이드라인(지침) 조정 등 인센티브를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건축심의도 단번에 통과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조합 집행부는 층수 완화 인센티브를 통해 조합원 간 한강 조망권 갈등도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층고가 올라가면 대다수 조합원이 한강뷰를 누릴 수 있을 것이란 예상이다. 신반포2차는 재건축 후 조망권 배분 문제를 두고 한강변 소형단지와 비(非)한강변 대형단지로 나뉘어 갈등해왔다.
현 설계안을 다듬을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조합은 현재 서울시 통경축 가이드라인에 따라 설계안을 짜뒀는데, 앞쪽 7개 동에 저층설계가 적용되면서 소유주 반대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신속통합기획 참여로 통경축 부분이 재검토되면 이 부분을 삭제하고 새롭게 설계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서울시 간섭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앞서 송파구 오금현대아파트가 재건축 1호 사업지로 추진됐지만, 주민들이 공공임대·기부채납 비율이 높다고 반발하면서 사업이 멈췄다. 이에 신반포2차 조합 관계자는 “사업 전 과정이 아니라 건축심의까지만 지원을 받는 것”이라 “장점이 월등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향후 강남 재건축 조합에서도 참여 분위기가 확산될지도 관심사다. 앞서 강남구 대치동 대표 재건축 단지인 한보미도맨션은 이달 초 신속통합기획 신청을 마쳤다. 오세훈 시장은 최근 국민의힘 소속 성중기 서울시의원과 태영호 의원과의 면담에서 압구정 현대아파트에도 신속통합기획 참여를 제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