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은 소프트웨어 중심 모빌리티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가속화 전략이자 자율주행 확대를 이끌 ‘트리니티 프로젝트’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폭스바겐은 지난 2016년 트랜스폼 2025+ 전략으로 혁신과 전기차 공세 전략을 시작했다. 이번 가속화 전략을 통해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기업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브랜드 가치 △확장 가능한 플랫폼 △가치 있는 기업 등 3가지 전략 가치를 이뤄나갈 계획이다. 트리니티는 라틴어 ‘트리니타스'(triinas)에서 따왔으며 삼위일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폭스바겐은 새로운 핵심 경쟁력 구축을 위해 차량 내 소프트웨어 통합을 추진한다. 폭스바겐은 ID. 패밀리를 통해 고객 중심의 디지털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여름부터는 ID. 디지털 프로젝트의 유닛을 통해 12주마다 소프트웨어 무선 업데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모든 폭스바겐 차량은 운행 주기 동안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된 상태를 유지하고, 2년 내에 50만대 이상의 차량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새 고객군 및 새로운 수입 창출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2.0도 수립한다.
폭스바겐은 차량을 소프트웨어 기반 제품으로 탈바꿈해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출 방침이다. 충전과 에너지 서비스, 고객의 필요에 따라 예약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 기능 또는 자율주행을 통해 차량의 운행 주기가 끝나도 추가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목표다.
이와 함께 차량 포트폴리오 구성을 간소화해 생산에서의 복잡성을 간소화할 예정이다.
전기차 확대에도 속도를 낸다. 폭스바겐은 2030년까지 유럽 전기차 시장 내 전기차 판매 비율을 기존 35%에서 70% 이상까지 끌어올려 글로벌 e-캠페인을 다시 한번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미국과 중국시장에서는 판매 비율 50% 이상의 전기차 판매가 목표다.
이를 위해 매년 최소 1개 이상의 신형 배터리 기반 전기차(BEV)를 선보일 예정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사륜구동 ID.4 GTX, 하반기에는 ID.5가 출시될 예정이다. 또 중국 시장용 7인승 전기 SUV인 ID.6 X(ID. 크로즈)는 가을에 출시하고, ID.3는 2025년에 선보일 예정이다.
미래 계획에 대한 모든 내용은 오는 2026년 처음 발표할 트리니티 프로젝트에 포함한다는 계획이다.
트리니티는 폭스바겐의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을 적용할 방침이다. 또 레벨 2 이상의 자율주행을 시작으로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트리니티를 시작으로 차량 전체에 구축된 완전 네트워크화를 통해 교통 상황, 장애물, 사고와 같은 데이터를 지속해서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폭스바겐 브랜드 CEO인 랄프 브란트슈타터는 “폭스바겐은 디지털화된 미래로 나아갈 예정이며, 대대적인 브랜드 변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E-모빌리티 뿐만 아니라 디지털 고객 경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많은 사람을 위한 자율 주행의 전형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