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예고했던 수입 반도체 100% 관세 부과를 당초 계획보다 지연할 수 있다고 로이터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을 자극할 경우 발생할 경제·외교적 파장을 고려해 보다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는 것이다.
복수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정부·민간 관계자들에게 “관세 적용이 연기될 가능성”을 비공식적으로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 “미국 내 반도체 제조 기업 또는 미국 투자 확약 기업은 관세를 면제하겠다”며 100% 관세 구상을 발표했지만, 구체적 시행 시점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중국 보복·희토류 공급 차단 우려”
한 소식통은 로이터에 “중국을 불필요하게 자극하지 않으려는 신중한 태도”라고 전했다.
반도체 관세가 부과될 경우 중국이 보복 관세로 대응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공급망 핵심인 희토류 수출 제한을 다시 가동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물가 압박, 연말 쇼핑 시즌 고려한 부담”
반도체는 냉장고·스마트폰·자동차 등 대부분의 전자제품에 필수 부품이기 때문에 관세가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연말 쇼핑 시즌을 앞두고 물가가 더 오를 경우 트럼프 행정부 입장에서는 민심 악화를 피하기 어렵다.
특히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로 최근 소비자물가(CPI) 발표가 지연됐지만, 물가는 바이든 행정부 이후 연준(Fed) 목표치인 2%를 여전히 웃돌고 있어 부담이 커지고 있다.
백악관 “가짜 뉴스”…상무부 “정책 변화 없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트럼프 행정부는 제조업 리쇼어링을 위해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며 “익명 소식통 보도는 모두 가짜뉴스”라고 선을 그었다.
미 상무부 관계자도 “반도체 232조 관세 정책에 변경은 없다”고 말했다.
한편 경제계에서는 관세 부과 여부가 글로벌 반도체 시장뿐 아니라 미·중 관계, 소비자 물가, 연말 경기 흐름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