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제품에 부과한 관세 수입을 재원으로 모든 미국인에게 최소 2,000달러를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른바 ‘관세 배당금(tariff dividend)’ 구상을 공식화하며, 관세 정책이 단순한 무역 조정 수단을 넘어 국민의 재정 혜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하고 존경받는 나라가 되었으며, 현재 수조 달러의 관세 수입이 쌓이고 있다”며 “이 돈으로 37조 달러에 달하는 국가부채를 갚고, 국민 한 사람당 최소 2,000달러를 돌려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관세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바보들(FOOLS)”이라며 “미국은 이제 자국 산업을 지키면서 국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는 시대를 열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재무장관은 ABC 인터뷰에서 “대통령의 제안은 단순한 현금 지급이 아니라 세금 감면 형태로 이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팁 비과세, 초과근무수당 면제, 사회보장세 감면, 자동차 대출 공제 등의 조합을 통해 ‘관세 기반 세제 혜택 패키지’가 마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고소득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미국인이 수혜 대상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으나, 구체적인 소득 기준이나 자격 요건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그는 과거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에도 1,200달러(2020년 3월)와 600달러(2020년 12월)의 경기부양금을 두 차례 지급한 바 있다.
미 재무부 자료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2025 회계연도 기준 1,950억 달러의 관세 수입을 거뒀으며 이는 전년 대비 250% 증가한 수치다. 향후 10년간 약 3조 달러의 관세 수입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베센트 장관은 “관세의 목적은 세수 확보보다는 무역 불균형 해소와 제조업 회귀”라며 “장기적으로 미국 내 고용과 세수 모두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발언은 최근 민주당이 주·지방선거에서 선전한 이후 나온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 안정과 중산층 지원을 강조하며 정치적 반전을 노린 메시지로 분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