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런 국제 백신 사기단은 △네덜란드 △라트비아 △프랑스 △이스라엘 △체코 △오스트리아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브라질 △캐나다 △스페인 등에 접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기단은 화이자와 존슨앤드존슨(얀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구매 계약을 중개해 주겠다고 이들 정부에 제안한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국가는 이 사기단과 구체적인 계약 협상까지 갔고, 사기라는 걸 알아챈 뒤 협상을 중단했다. 실제로 사기단에 돈을 넘긴 나라가 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브라질 정부는 사기단과 협상이 있었으나 구매까지 이어지진 않았다고 밝혔다. 콜롬비아 정부는 사기단에 제약사와의 협력 관계를 증명하라고 요구하자 사기단이 연락을 끊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백신 제조사들은 현재 코로나19 백신을 중개자를 통해 판매하는 경우가 없다며 각국에 주의를 요구하고 있다.
화이자는 45개국에서 자사 백신과 관련된 86건의 사기가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존슨앤드존슨 또한 이런 사기를 인지하고 있다며 자사 대신에 백신을 판매하거나 유통할 권한을 지닌 민간 기업은 없다고 밝혔다.
아스트라제네카 또한 중개자를 통한 민간 공급은 없다며 만일 있을 경우 그것은 사기이기 때문에 현지 보건당국에 신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미 국토안보부는 각국 정부의 돈을 노리고 접근하는 백신 사기단의 수를 50~75개로 추정하고 있다. 국제형사경찰기구(인터폴) 또한 며칠 내로 각국에 백신 사기에 대한 경고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