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부는 오는 10일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과 손잡고 조선업 일자리 상생 협약을 체결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K-조선 재도약, 조선업 일자리 상생 협약’은 최근 수주 확대 등 업황 회복의 기회를 살려 고용을 회복시키기 위해 정부-자치단체-기업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 공동의 인식에서 성사된 것이다.
먼저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은 2015년 이후 중단된 정규직 신규 채용과 협력사 근로자의 직영 전환을 재개한다.
여기에 고용부와 울산시, 울산 동구는 조선업 기술연수생 훈련장려금과 청년채용장려금을 확대한다. 조선업 희망센터에서 구인·구직 프로그램도 강화할 계획이다.
고용부는 청년 등 조선업 신규 취업자의 자산 형성과 장기 근속을 위해 ‘조선업 내일채움공제’를 새로 도입하고, 자치단체는 청년 취업자의 정착을 위한 주거비와 이주 정착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협력사 지원도 늘린다.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은 협력사 경영 안정을 위해 단가를 적정 수준으로 인상할 예정이다. 경영안정자금, 상생발전기금 역시 확대한다.
협력사는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자구책을 수립·시행하게 된다.
이에 호응해 고용부는 그간 조선업이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됨에 따라 납부 유예된 고용·산재보험료를 분할 납부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울산시는 조선업 경영안정자금(200억원)과 특례보증(75억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협력사 근로자 임금 인상도 추진한다. 학자금, 주택마련대출, 숙소 등 근로자 복지 증진에도 힘쓴다.
안경덕 고용부 장관은 “최근 세계 선박시장이 친환경과 디지털화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어, 우리 조선업에 새로운 기회의 문이 열리고 있다”며 “다른 조선업계 주요 기업들도 신규 채용 확대를 적극 검토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