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P 통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비공개 평화 회담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23일(현지시간) 확인됐다.
보도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회담 직후 기자회견에서 “오늘 우리는 엄청난 진전을 이뤄냈다”며 “아주 합리적인 기간 안에 성과가 나올 수 있다는 낙관적인 기분이 든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완전한 승리나 최종 단계라고 부르기엔 아직 갈 길이 남아 있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루비오는 “우크라이나 평화 협정 달성을 위해 해야 할 과제가 더 남아 있지만, 회담을 시작했을 때보다 분명히 앞으로 나아갔다”고 강조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한 ‘추수감사절 전(27일) 종전안 서명’ 시한에 대해선 “가능한 한 빨리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라면서도 연장 가능성을 시사했다.
우크라이나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영상 성명에서 “많은 것이 변화하고 있다”며 “전쟁을 끝내기 위한 필요한 조치들을 매우 신중하게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 팀이 우리의 말을 듣고 있다는 신호가 있다”며 “우리의 우선순위는 신뢰할 수 있는 평화, 안보 보장, 국민의 존중, 그리고 전쟁에서 희생된 이들에 대한 존중”이라고 강조했다.
안드리 예르막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도 루비오 장관과 공동 기자회견에서 “매우 생산적인 회담이었다”며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평화를 향해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제시한 ‘28개 항의 평화 계획’이 중심이 됐다. 알려진 핵심 내용은 △우크라이나의 동부 돈바스 지역 양보 △군 규모를 80만 명에서 60만 명으로 감축 △나토(NATO) 가입 포기 및 우크라이나 내 나토군 주둔 금지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