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대미 관세 협상 지원을 위해 30일 오후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 이은 두 번째 재계 총수의 방미다.
한미 관세협상은 다음 달 1일 데드라인을 앞두고 막판 협상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한국 정부와 재계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협상은 특히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관세가 부과된 상황에서 미국 내 완화 조치를 이끌어내는 것이 핵심이다.
정 회장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 이어 세 번째로 방미 행렬에 합류했다. 김 부회장은 지난 28일, 이 회장은 29일 각각 워싱턴에 도착해 조선산업 협력 방안(MASGA)과 반도체·AI 협력 확대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정의선 회장은 앞서 지난 3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만나 미국 조지아주 차량 생산 확대와 루이지애나주 철강 공장 신설 등을 포함한 210억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같은 배경은 관세 협상에서 한국 측의 입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 회장은 또 지난 14일 이재명 대통령과 단독 만찬을 갖고 대미 투자, 글로벌 통상 전략, 지방경제 활성화, R&D 투자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일본과 유럽연합(EU)이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수입 자동차 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춘 가운데, 한국 역시 이와 유사한 조건을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가 국내 기업들로부터 확보한 ‘1000억달러+α’ 규모의 투자 약속 가운데 현대차그룹의 기여가 가장 큰 것으로 전해졌다.
Ask ChatG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