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 10월 22, 2025
Advertisemen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Home 사회

이수만, 故김민기 빈소에 거액 조의금…유족, 고인 뜻따라 돌려줘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by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7월 24, 2024
in 사회, 인물/피플
0
이수만, 故김민기 빈소에 거액 조의금…유족, 고인 뜻따라 돌려줘

이수만 전 SM엔터테인먼트 총괄 프로듀서 ⓒ News1 김진환 기자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

이수만 전 SM엔터테인먼트 총괄 프로듀서가 서울대 선배이자 가수 겸 ‘학전’ 대표 고(故) 김민기의 빈소를 찾아 거액의 조의금을 전달했지만, 유가족 측은 조의금을 받지 않겠다는 고인의 뜻에 따라 돌려줬다.

24일 가요계에 따르면 이수만은 지난 23일 고 김민기의 빈소를 찾아 조문객들의 식사비로 써달라며 거액의 조의금을 전달했다. 유족이 조의금과 조화를 받지 않겠다고 밝힌 만큼, 식사비 명목으로 돈을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뉴스1 확인 결과, 유족은 고인의 당초 뜻에 따라 이수만이 전달한 조의금을 모두 돌려줬다. 이수만의 마음은 감사하게 받았지만, 생전 돈을 우선하지 않았던 고인의 뜻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 22일 고인의 조카인 김성민 학전 총무팀장은 대학로 학림다방에서 연 간담회에서 조의금을 받지 않겠다고 밝히며 “학전이 폐관하면서 저희 선생님 응원하시느라 많은 분들이 알게 모르게 십시일반 도와주셨다”라며 “충분히 가시는 노잣돈을 마련하지 않으셨을까 한다”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수만 또한 학전 폐관 당시 마무리 작업을 위해 1억원이 넘는 금액을 전달하기도 했다.

한편 고 김민기의 발인식이 이날 오전 8시 빈소가 마련됐던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서 엄수됐다.

발인식이 끝난 후 장지인 천안공원묘원에 향하기 전 고 김민기는 서울 대학로에 위치한 아르코꿈밭극장 마당을 들렀다. 아르코꿈밭극장은 고인이 33년간 일궈온 ‘학전’이 폐관된 후 새롭게 연 극장이다.

이곳에는 현재 아르코꿈밭극장을 운영하고 있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정병국 위원장을 비롯해 고인과 인연이 있는 설경구, 황정민, 장현성, 박학기, 이적, 이황의, 최덕문, 방은진, 배성우, 박승화 등 여러 배우 및 가수들과 유홍준 교수 등이 모여 김민기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고인은 지난 21일 위암 증세가 악화돼 항암치료를 받던 중 별세했다. 향년 73세다.

1951년생인 고인은 서울대 미대 재학 시절 동창과 함께 포크 밴드를 결성해 음악 활동을 시작한 후, 1971년 정규 1집 ‘김민기’를 발매하며 정식으로 데뷔했다. 대표곡 ‘아침이슬’의 편곡 버전이 수록되기도 한 이 음반은 고인의 유일한 정규 앨범이다.

고인은 특히 ‘아침이슬’ ‘꽃 피우는 아이’ ‘봉우리’ ‘내나라 내겨레’ 등의 곡을 발표하며 군사정권에 저항하는 목소리를 노래하며 1970년대와 1980년대 청년 문화를 이끈 인물로 평가받았다.

더불어 1990년대에는 극단 학전을 창단해 학전블루(2024년 폐관)와 학전그린(2013년 폐관) 소극장을 운영해 왔으며, 이곳들은 ‘김광석 콘서트’, ‘노영심의 작은 음악회’ 등 라이브 콘서트 문화의 시발점이 되기도 했다. 또한 연극, 대중음악, 클래식, 국악, 무용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소극장 문화를 일궈왔다.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Related Posts

앨라배마 마사지업소 인신매매 단속
AL/로컬/지역

[속보] 마사지 업소 인신매매 수사…여성 9명 발견

10월 17, 2025
아이비 주지사 “남부 자동차 산업, 혁신과 성장의 중심”
인물/피플

앨라배마주, 노동부(Department of Workforce) 신설

10월 17, 2025
4대그룹 총수, 트럼프 마러라고 리셉션 참석
AL/로컬/지역

4대그룹 총수, 트럼프 마러라고 리셉션 참석

10월 17, 2025
Next Post
“건물이 두 개지요”…배우 이정재 ‘220억’ 청담빌딩 추가 매입

"건물이 두 개지요"…배우 이정재 '220억' 청담빌딩 추가 매입

강경준, ‘유부녀와 불륜’ 사실상 인정…”상대 남편에 위자료 주겠다”

강경준, '유부녀와 불륜' 사실상 인정…"상대 남편에 위자료 주겠다"

한인 부녀 “음료 쓰다” 美버블티 가게서 난동…경찰 출동하자 “나 의사야”

한인 부녀 "음료 쓰다" 美버블티 가게서 난동…경찰 출동하자 "나 의사야"

  • 회사소개 인사말
  • 오시는길
  • 회원서비스이용약관

© 2025 Alabama Korean TImes - empowered by ApplaSo.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 2025 Alabama Korean TImes - empowered by Appla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