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정당국의 칼끝이 본격적으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한 가운데 20일 당내 친명(親이재명)뿐만 아니라 비명(非이재명)계도 검찰 수사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단일대오를 형성했다.
비명계 의원 중 다수는 전날(19일) 검찰의 압수수색을 저지하기 위한 당사 앞 집회에 참석하기도 하며 이 대표 지원사격에 나섰다. 다만 이들은 ‘우려했던 사법 리스크’가 현실화 됐다’며 복잡한 심경을 드러내기도 했다.
설훈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이런 사태를 예견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대표를 만나서 ‘당에서 막을 테니 대표로 나오지 말라’는 주문을 했던 것”이라고 밝혔다.
설 의원은 당내 대표적 비명·중진 인사로 지난 8·28 전당대회를 앞두고는 이 대표의 출마를 강하게 반대했었다.
그는 “사실인 건 나중에 밝혀지고 아닌 것도 밝혀지겠지만, 여부에 상관없이 검찰이 (민주당을) 그냥 놔두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며 “구체적으로 그런 점을 생각해서 당대표에 있지 않는 게 좋다는 주장을 했던 것”이라고 했다.
다만 설 의원은 검찰의 압수수색에 대해서 “당사를 압수수색 하겠다는 것은 나올 게 없다는 걸 알면서도 민주당을 창피를 주기 위해 했을 것”이라며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석방돼 나왔다는 것도 회유 등 뭔가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한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나는 절대 무관하다’고 얘기를 했으니, 결과를 봐야 할 것”이라며 “우리측 변호사가 김 부원장을 만나서 정황을 들어보고 판단을 해야지, 아직은 검찰의 일방적인 주장만 보고 있어 무엇이 진실인지는 정확히 잘 모르겠다”며 유보적인 태도도 보였다.
역시 대표 비명 인사인 이상민 의원도 YTN ‘뉴스Q’에 출연해 “이 대표에 대한 사법적 의혹은 이미 대선 때부터 줄곧 제기돼온 부분이며, 대선이 끝나면 패자는 혹독한 시절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누구나 예견을 했던 것”이라며 “다만 검찰의 여러 행태를 보면 몰아치기로 동시다발적으로 (수사를) 하는 것은 정치적 계략이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다.
이 의원은 “이미 이 대표가 당대표 선거에 나가기 전부터 당내에는 그런 (사법리스크) 얘기들이 있었고, 반대 의견도 있었지만, 이미 압도적으로 당대표가 됐으니 그 문제는 이미 지난 얘기”라면서도 “그렇다고 당대표라고 해서 무조건 엄호사격하고 비호하는 것도 적절치 않다”며 복잡한 심경을 나타냈다.
이어 “확인된 건 아니지만 미루어 짐작을 해보면, 유 본부장의 진술로부터 상당 부분 김 부원장 혐의에 대한 증거나 소명자료가 확보된 것 아닌가 하는 추측은 된다. 다만 속단하기는 어렵다”며 “민주당으로서는 걱정반, 또 그렇게 안 됐으면 좋겠다는 희망반이 뒤섞여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