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1~3월) 무역수지 적자의 상당부분이 원유, 천연가스 등 원재료 수입물가 상승에 따른 것이므로 주요 수입원재료에 대한 관세율을 인하하고 해외자원개발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일 ‘원재료 수입물가 상승이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올해 1~2월 원재료수입물가는 58.5% 급등했다. 고공행진을 하고 있던 원유 및 천연가스(LNG) 수입물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더욱 급등한 것이다. 1~2월 중 원유와 천연가스의 수입물가 상승률은 각각 68.1%, 69.2%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원유와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3월 중(3월1일~25일 평균)에도 각각 69.0%, 498.1% 급등해 원재료수입물가의 상승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경연이 2002년 1분기부터 2021년 4분기까지 분기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원화기준 원재료 수입물가 상승률은 무역수지에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화기준 원재료수입물가가 1%p 상승하면 무역수지는 분기기준으로 7200만달러 악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경연은 올해 1분기 원재료수입물가 상승률을 올해 1~2월 상승률과 같은 58.5%로 가정했을 경우, 무역수지는 42억3000만달러 악화된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최근의 가파른 원재료수입물가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무역수지 적자행진은 지속될 수 밖에 없다며 주요 수입원재료의 공급원활화를 위한 관세율 인하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최근 글로벌 공급망 불안,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국제원자재의 공급난이 심화되는 양상”이라며 “주요 수입원재료에 대한 관세율을 인하하고, 침체된 해외자원개발을 다시 강화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