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뇨의학과에서 진료나 치료를 받아본 여성이 남성의 절반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뇨기과’를 ‘비뇨의학과’로 바꾸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인식 수준이 나아지지 않은 셈이다.
대한비뇨의학회는 21일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4월 29일부터 5월 4일까지 만 19~64세 성인 남녀 105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비뇨의학과에서 진료 및 치료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여성은 5명 중 1명(18.6%)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이는 남성(37.2%)의 절반 수준이었다.
설문에 참여한 여성 506명 중 72.9%가 남성과 관련된 비뇨의학과 이미지로 인해 방문이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그러나 ‘남녀’ 모두 비뇨의학과에서 진료 및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가 26.3%에 그쳤다.
학회는 “비뇨의학과는 남녀노소 관계없이 소변의 생성, 저장, 배출과 관련된 우리 몸의 기관을 포괄적으로 치료하는 진료분과”라고 강조했다.
특히 전체 응답자의 24%는 “여성의 요로감염, 요실금 등 배뇨장애 질환은 비뇨의학과에서 상담, 치료, 관리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들어본다고 답변했다.
여성 응답자 506명 중 요실금, 요로감염 등 소변과 관련한 증상 또는 질환이 생겼을 때 비뇨의학과 대신 산부인과에서 진료받는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약 70%에 달했다.
이상돈 학회장(양산부산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은 “여성은 소변 및 방광과 관련한 증상이나 질환이 생겨도 비뇨의학과보다 다른 진료과 치료를 우선 고려한다”며 “소변 관련 문제가 있을 때 남녀노소 모두 편히 방문할 수 있도록 비뇨의학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좁혀 나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남성도 비뇨의학과와 더 친숙해져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됐다.
지난 5월 발표된 국가암등록통계(2019년 기준)에 따르면, 국내 남성에게 발생률이 높은 암종 10개에 전립선암(4위), 신장암(7위), 방광암(9위)이 포함됐다.
그러나 해당 사실에 대한 인식 수준은 24점(100점 기준)에 불과했며, 남성 응답자 548명 중 비뇨의학과 진료 경험이 있는 사람은 37.2%에 그쳤다.
실제로 비뇨기 건강 검진의 기본인 ‘요속도 검사’와 전립선암 조기검진에 활용되는 ‘전립선특이항원(PSA) 검사’를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17.2%, 20.1% 정도였다.
이 회장은 “비뇨의학과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비뇨의학과가 남녀노소 관계없이 배뇨와 관련된 신체 기관을 포괄적으로 치료하는 진료분과임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