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원 외교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은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진행한 ‘미 의회 한국연구모임(CSGK)’ 기자 간담회에서 “우리(미국)를 북한과의 협상 테이블을에 앉히기 위해선 북한이 진지하게 임해야한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이 모임의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 의원은 아미 베라 의원과 방한해 외교부, 국방부, 국회 등 주요 정부 부처와 기업, 정책 전문가 등을 만나 한미 주요 정책 현안을 논의하고 있다.
현재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취임해 대북정책 검토를 마치고 새 대북정책을 수립했지만 북미 간 교착 국면은 상당히 길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미 행정부 뿐 아니라 미 의회까지 북한에 먼저 나서라는 메시지가 나온 것.
김 의원은 북미 간 대화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2008년 6자회담 협상 당시를 언급했다. 그는 “당시 성 김 미 대북특별대사는 북한에서 정보를 가지고 왔고 결국 북한을 테러 지원국에서 벗어나게 하면서 이로 인해 대북제재가 해제됐다”면서 “당시 연방의회 일부에선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하거나 폐기하려는 의지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 이에 주저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변 원자로 냉각탑 폭파 당시를 언급하면서 “5분짜리 사진 찍기용 순간이었다”라며 “지금 생각해보면 미국이 했던 일은 북한이 핵 보유국이 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줬던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에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북한이 우리와 협상을 하기 위해선 북핵문제 진전하길 바라는 의지와 열망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 과정에서 한미동맹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이 이 문제에 있어 미국과 긴밀한 협력을 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면서 “한국이 그들의 동맹국과 친구가 누구인지, 누가 그들을 위해 함께 하고 있는지 잘 이해하고 있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한국 정부가 남북경협 등에 있어 미국과의 협력 없이 독자적인 행동에 나서지 말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뿐 아니라 김 의원은 한미일 3국 공조도 중요하다고 했다. 김 의원은 “한국은 (대북정책에 있어서 미국과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면서 “일본도 끌어들여야 한다. 한미일 3국 관계는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다시 불러오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 의회 연구모임은 초당파적 비영리 민간단체인 전직의원협회(Association of Former Members of Congress, FMC)가 운영 중이다. 그 중 한국연구모임은 미국 코리아소사이어티(Korea Society)와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이 협력 운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