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018년 4월27일 1차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건넨 USB를 둘러싸고 여야의 공방이 격화되는 모양새다.
이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1일 청와대 여민1관 3층 영상회의실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가뜩이나 민생이 어려운 상황에서, 버려야 할 구시대의 유물 같은 정치로 대립을 부추기며 정치를 후퇴시키지 말기 바란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말한 ‘구시대의 유물 같은 정치’는 북한 원전 건설 추진 의혹을 제기한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이적행위’ 발언을 지목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국민의힘은 ‘경천동지할 사안’이라며 맹공을 퍼부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낡고 저급한 정치’라며 맞받아쳤다.
지난 31일 김종인 위원장은 ‘대북 원전 의혹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여당을 향해 “먼저 누구의 지시에 따라 추진된 것인지 즉각 밝혀주기를 바란다”며 “정부가 진실을 밝히지 않는다면 국회 차원의 국정조사 추진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에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 원전이 극비리에 건설될 수 있다는 야당의 발상 자체가 비현실적”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선거만 되면 색깔론을 들고나오는 낡고 저급한 정치를 야당은 지금도 되풀이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