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속통합기획 적용 민간재개발 최종 후보지 21개 구역이 선정된 가운데 탈락한 80여 곳은 다음 선택지 마련에 고심 중이다. 일부는 신속통합기획 ‘재수’를 택했고, 또 다른 쪽에선 공공재개발 2차 공모부터 다른 사업까지 샅샅이 훑으며 재개발에 대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
29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가 이번 공모에 미선정된 구역에 대해서도 투기세력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건축허가 제한을 추진하면서 탈락지역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신축건물 난립으로 노후도 등 요건에 빨간불이 켜질 여지가 차단돼서다.
미선정 구역들은 한숨 놓았다는 분위기다. 익명을 요구한 강북 소재 한 신청구역 관계자는 “미선정 구역에도 강력한 투기방지 대책이 마련되면서 신축 빌라가 들어서서 노후도를 깨뜨릴 염려는 없어졌다”며 “실망감이 크지만, 차분히 다음 계획을 세울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대부분 신속통합기획 재도전을 최상위 선택지에 두고 있다. 강대선 창신동(창신1동 일부·창신2동) 재개발추진위원회 위원장은 “이번에 자치구 25곳 중 21개 구역만 선정이 됐기 때문에 내년 정례 공모 전 추가 지정이 있을 것이란 희망을 품고 있다”며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만큼 내년 선정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남구 대청마을 주민들도 신속통합기획 재수를 유력한 선택지 중 하나로 거론했다. 대청마을은 개포택지개발지구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단독주택지인 1·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관리돼 사실상 정비사업이 어려운 지역이다. 이번에도 도시계획상 부적합하단 의견이 주요 탈락 사유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추진위원회 관계자는 “3분의 2 이상의 주민이 청원하면 지구단위계획이 변경될 수 있고, 도시계획이 변경되면 신속통합기획을 가로막았던 장애물도 사라지는 것”이라며 “최종 탈락 구역까지 건축제한으로 묶어 보호하는 조치를 한 것도 다음을 노릴 수 있도록 배려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당장 이달 말 공공재개발 후보지 2차 공모도 예정돼 선회 움직임도 일고 있다. 공공재개발은 정부가 직접 시행사로 참여해 사업을 주도, 민간재개발인 신속통합기획과 성격이 다르다. 인센티브로 늘어난 용적률의 절반가량(서울시 40%)을 임대주택으로 기부채납해야 해 이에 대한 반발도 크다.
하지만 분양가상한제에서 자유롭고 사업 속도도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 신속통합기획 탈락지들의 주요 선택지 중 하나로 꼽힌다. 장위11구역도 신청을 염두에 두고 있다. 장위11구역은 67%의 높은 동의율을 받았지만, 성북구청의 신속통합기획 1차 후보지 선정에서 걸러진 바 있다.
장위11구역 재개발 추진위 관계자는 “최고 수준 동의율로 주민들의 개발 의지를 확인한 만큼, 재개발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계획은 명확하다”며 “주민들과 논의를 거쳐 공공재개발 신청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종로구 창신동 또한 분담금 부담을 우려한 이들을 중심으로 공공재개발 추진 움직임이 일고 있다.
2·4 대책에 담긴 ‘공공주도 3080+’도 선택지 중 하나다. 강남구 대청마을은 신속통합기획 선정 확률을 높이기 위해 5곳으로 구역이 쪼개졌는데, 그중 일부인 D구역이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선정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으면서다. D구역은 1종 일반주거지역을 대거 포함한 다른 구역들과 달리 2종이 일반주거지역이 70%를 차지한다.
다만 아직 확정된 계획은 없다는 것이 대청마을 재개발 추진위원회의 입장이다. 방창덕 대청마을 추진위원장은 “다음에 무엇을 추진하게 될지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며 “소유자들 동의를 거쳐 신속통합기획 재도전부터 공공재개발 공모까지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두고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