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세종에 별도의 대통령 집무실을 신축하지 않기로 하자 야당과 지역 시민단체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대통령실은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국민 세금을 아껴쓰겠다는 마음”이라며 공약 파기는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으나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는 모양새다.
민주당 세종시당은 18일 성명을 내 “당선된 지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대통령 세종 집무실 공약을 파기, 국민과의 약속을 쉽게 저버리며 우롱한 국민의힘과 윤석열 대통령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러면서 원안 이행을 촉구했다.
앞서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행정수도완성 시민연대(시민연대)도 이날 오전 “국민을 상대로 한 명백한 거짓말 행태”라며 “단 한마디의 사과와 반성도 없이 이중잣대와 궤변으로 국민을 또다시 기만한 것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고 성토했다.
반발은 전날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의 발언에서 비롯됐다.
이 관계자는 브리핑에서 “나라 살림이 어려운데 예산을 들여 새로 짓고 배치하는 것보다는 지금 설치돼 있는 세종 집무실을 내실 있게 활용하는 것이 공약을 이행하는 가장 실질적인 방법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어 “윤 대통령의 생각은 확고하다”고 덧붙였다.
공약 파기 논란에 대해서는 “새로 건물을 신축하면서 지금 있는 것보다 훨씬 규모도 크고 참모들도 근무할 수 있는 집무실을 설치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역사회 요청이 있는 것을 안다”면서 “공약을 형식적으로 지키느냐보다 실질적으로 지키느냐가 중요하다”고 선을 그었다.

이번 논란은 13일 행정안전부가 “12월 준공되는 세종청사 중앙동에 임시 집무실을 설치하지 않는다”고 발표하면서 불거졌다.
이는 지난 4월 인수위 발표와 배치되는 것이다. 당시 인수위는 △청사 1동 국무회의장 우선 활용(1단계) △12월 준공되는 세종청사 중앙동에 임시 집무실 설치(2단계) △2027년 국회 세종의사당 개원에 맞춰 비서동과 관저를 갖춘 세종 집무실 건립(3단계) 로드맵을 발표했다.
행안부는 ‘공약 후퇴’ 비판이 일자 “3단계 세종 집무실 건립은 예정대로 추진하겠다”며 한 발 물러섰다.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3단계 계획도 없다’고 밝히자 야당과 시민단체의 반발이 확산된 것이다. 사실상 세종 2집무실 신축 폐기를 시사하는 이 발언은 부글대던 지역 민심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됐다.
시민연대는 “용산집무실은 대통령 공약도 아니었다. 반면 세종 집무실은 대통령 공약으로 인수위에서 로드맵까지 발표했다”며 “예산 때문에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다는 것은 전형적인 이중잣대이고 정치적 궤변의 극치”라고 목소리를 키웠다.
민주당 세종시당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는 대통령실은 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를 예산낭비라며 어처구니없는 궤변을 들이대고 있다”며 “곧 국민들이 심판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대통령실 관계자는 “아마 그 지역(세종)에 가서 조금 더 자주 회의를 하는 방식으로 지역에 대해 대통령이 갖고 있는 관심을 잘 보여드릴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