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규모 가전IT박람회인 ‘CES 2022’에서는 한국 주요 기업 총수와 최고경영자(CEO)가 다수 참석해 현장에서 활발하게 교류했다.
삼성전자, 현대차, SK, 현대중공업, 두산 등 한국 주요 대기업은 개막 첫날 미디어행사를 통해 소통하며, 2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열린 CES 무대의 중심에 섰다.
삼성전자의 한종희 부회장(DX부문장)은 전날 CES의 메인 무대격인 기조연설을 진행한 데 이어 5일 개막일에는 노태문 사장(MX사업부장), 이재승 사장(생활가전사업부장)과 함께 기자간담회를 열고 삼성전자의 향후 사업 방향과 인수합병(M&A) 계획 등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한 부회장은 M&A 계획과 관련, 전장(자동차 부품)과 부품, 세트(완제품) 등을 모두 언급하며 “조만간 좋은 소식이 나올 것 같다”고 밝혀 삼성이 하만 인수 이후 다시 대형 M&A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감을 키웠다.
한 부회장은 일본의 소니, 중국 TCL 등 경쟁 업체 부스를 찾아 기술 동향을 살피는 등 바쁜 일정을 소화했다. 소니의 경우 이번 CES에서 전기차 진출을 선언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5대 기업 총수 중에는 유일하게 CES 2022 현장을 찾은 정의선 현대차 회장은 이날 자사 부스를 비롯해 삼성전자, SK, 현대중공업, 두산, 소니, 스텔란티스 등의 부스를 둘러봤다.
삼성전자 부스를 찾았을 때는 한종희 부회장이 직접 정 회장의 안내를 맡기도 했다.전시장을 둘러본 정 회장은 “아주 얇았던 삼성의 TV와 친환경 업체, 블록체인 업체들이 인상 깊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회장은 전날에는 프레스 콘퍼런스 참석해 로봇 반려견 ‘스팟'(Spot)과 무대에 올라 로보틱스를 기반으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메타 모빌리티’로 확장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며 주목받았다.

올해 처음 CES에 참가한 현대중공업그룹의 정기선 사장은 이날 프레스 콘퍼런스와 한국 언론과의 별도 간담회를 연달아 열고 자율운항 기술에 기반한 해양 모빌리티 사업 비전에 대해 설명했다.
정 사장은 “세계가 성장하는데 토대를 구축해 온 현대중공업그룹의 지난 50년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다가올 50년은 세계 최고의 퓨처 빌더가 돼서 더 지속가능하고 더 똑똑하며 더 포용적인, 그래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성장을 만들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정 사장은 사촌 형인 정의선 현대차 회장을 부스에서 맞아 직접 안내했다.
박정호 SK스퀘어 부회장은 SK주식회사,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SK E&S, SK에코플랜트, SK텔레콤 등 6개사가 함께 참여하는 SK 전시관을 찾아 “코로나 상황에서도 CES에 참여해 세계 최고의 ICT 위상을 굳건히 하고 있는 대한민국 기업들에게 응원과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운영진들에게 SK의 넷 제로(Nwt Zero) 달성 의지가 참관객들에게 충분히 전달되도록 할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이 밖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이날 삼성전자 부스를 찾아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을 만났다. 그는 이 자리에서 “SK텔레콤도 모바일 중심에서 유선·IPTV 등 분리된 서비스를 어떻게 아우를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은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협력 관계인 미국 솔리드파워 존 제이콥 최고마케팅책임자(CMO)를 맞아 SK 전시장 투어를 안내하고, 향후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미국 소비자가전협회(CTA)가 1967년부터 개최해 온 CES에는 전자기기, 통신, 인공지능(AI) 등이 융합된 첨단기술의 각축장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올해는 전세계 160여개국에서 2200여 기업이 참여했다.







